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서부권 광역급행철도(GTX) 노선의 서울 강남 직결이 무산됐다. 영호남 지역의 20년 숙원사업으로 꼽혔던 ‘달빛내륙철도’(광주대구선)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돼 기사회생했다.

국토교통부는 29일 철도산업위원회 심의를 열고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2021∼2030)을 확정했다. 이른바 ‘김부선’으로 불렸던 GTX-D 노선은 초안대로 김포 장기∼부천종합운동장만을 연결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다만 노선을 GTX-B 노선(송도∼마석)과 연계 운행해 서울 주요지역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GTX-B노선 직결 운행 시 김포 장기에서 여의도까지 이동에는 24분, 장기에서 용산까지 이동에는 28분이 걸릴 것으로 국토부는 전망했다.

또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 사업을 ‘추’가 검토 사업’’으로 새롭게 반영했다. 추가 검토 사업은 장래 여건 변화에 따라 추진 검토가 필요한 사업을 말한다.
[속보] '김부선' 대신 '김용선'…광주-대구 달빛내륙철도는 추진
계획 수립 단계에서 인천시는 인천공항과 김포를 양 기점으로 삼는 Y자 형태의 110㎞ 노선을, 경기도는 김포에서 강남을 지나 하남까지 잇는 68㎞ 노선을 요구해왔다.

국토부는 관계자는 “수도권 서부권의 교통혼잡 문제 개선을 위해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외에도 다양한 철도노선 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철도 외에도 도로, 버스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적극 검토·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4차 철도망 구축계획에는 광주와 대구를 잇는 달빛내륙철도가 추가로 반영됐다. 지난 4월 발표한 초안에는 검토사업으로 선정됐다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이번에 확정된 것이다.

달빛내륙철도는 광주 송정과 서대구 간 199㎞ 구간을 잇는 단선 전철 사업으로 사업비는 총 4조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달빛내륙철도는 문재인 정부의 공약사업으로 영호남 교류와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사업 필요성이 강조돼왔다.

하지만 비용 대비 편익(BC)이 0.483에 그쳐 결국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그동안 번번이 철도망 계획에 반영되지 못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광주∼대구 사업은 6개 광역시·도를 경유해 지역 균형 발전 및 지역 거점 간 연결성 강화 효과가 크다”며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횡축 철도망을 확대하는 등 정책 필요성을 고려해 사업에 추가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