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전동킥보드 공유 시장이 급증하면서 편리한 이동을 위해 전동킥보드를 운행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전동킥보드에 의한 사고도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다.

삼성화재 분석결과, 20년 전동킥보드 사고 접수 건수 17년 대비 8배 증가

삼성화재가 자사에 접수된 사고 건수를 분석한 결과 20년에 접수된 차대 전동킥보드 사고 건수는 1,447 건으로 17년 181건에서 무려 8배 이상 급증하였다.

피해 금액도 17년 8억 정도 수준에서 20년도는 37억 정도로 우려할 수준으로 사고들이 늘어나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21년 1월에서 5월까지 접수된 사고 건수 가 이미 8백여건에 달해 올해는 그 건수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차대 전동킥보드 사고 건수 및 피해금액

'21.1~5월

발생건수(件)

1,447

피해금액(阡万)

230.0

366.1

159.1

수도권 10~30대의 남성이 전체 사고 비중의 70% 이상 차지

20년 삼성화재에 접수된 전동킥보드 사고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해보면 남성이 70% 이상이고 10~30대의 사고 비중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해당 분석결과 주로 젊은 남성이 도심지역에서 공유 전동킥보드를 많이 이용하면서 사고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 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 전동킥보드 사고 일반 특성 ('20年 기준)

◦ 성별 : 남성 73%, 여성 27%

◦ 연령 : 10代 10%, 20代 38%, 30代 24%, 40代 15%, 50代 9%, 60代 4%

◦ 시간 : 주간 61%, 야간 39%

◦ 지역 : 서울 44%, 경기 23%, 인천 6%

경기 : 수원시 23%, 용인시 10, 부천시 9

전동킥보드 사고 유형 분석 (사고영상 127건 분석 결과)

삼성화재에 접수된 전동킥보드 사고 중 총 127건의 사고영상 분석결과, 전동킥보드와 차량간의 사고는 전동킥보드의 역주행, 신호위반, 횡단 중 킥보드 탑승 등 전동킥보드 이용자의 교통법규 미준수에 따른 사고발생 빈도가 높았다. 특히 인도를 주행하다가 이면도로 접속구간 또는 주차장 진출입로를 횡단할 때 발생한 사고(26%)와 신호등이 없는 이면도로 교차로에서 서행하지 않은 채 통행하다 발생한 충돌사고(26%)가 가장 많이 발생한 유형이었다.

사고영상 분석 127건 중 111건(87.4%)은 전동킥보드 이용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였다. 도로교통법에 따라 전동킥보드 이용자는 안전모 착용이 필수다. 그러나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이용자의 안전모 착용은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일임되고 있으며 사용 전 안전모 착용 체크나 안전모 제공 서비스 등이 미흡하여 사고시 피해가 커질 수 있는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전동킥보드는 구조 상 자전거에 비해 바퀴가 작고 이용자의 무게중심이 높기 때문에 급정거 또는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이용자가 쉽게 넘어져 두부와 안면부 상해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아 안전모 착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전제호 책임연구원은 "최근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가 활성화됨에 따라 보조 교통수단으로서 이용자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 초기에 올바른 전동킥보드 이용 문화 정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전동킥보드 이용자의 교통법규 준수와 안전운행 관리감독 강화가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