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대기업 특혜' 프레임에 막힌 반도체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지부진한 국회 반도체특위
머뭇거리다 경쟁력 잃을 수도
박신영 산업부 기자
머뭇거리다 경쟁력 잃을 수도
박신영 산업부 기자
![[취재수첩] '대기업 특혜' 프레임에 막힌 반도체 지원](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07.14326934.1.jpg)
정부도 나름대로 반도체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반도체 등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R&D) 비용을 최대 50%까지 세액공제해주겠다고 발표했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30~40%가 적용된다.
최근 세계 각국은 반도체 공급망을 자국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지원금 공세를 퍼붓고 있다. 미국은 자국에 반도체 생산시설을 짓는 기업에 설비투자액의 최대 40%에 달하는 법인세 공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유럽연합(EU)은 반도체 투자 비용의 20~40%를 보조금으로 지급한다. 중국은 2030년까지 반도체 장비·원자재·소모품에 관해서는 세금을 받지 않는다.
일각에선 정부와 국회가 ‘대기업 특혜’ 시비를 우려해 파격적인 지원안을 내놓지 못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DB하이텍 등에 세금 혜택이 집중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생각한다는 의미다.
요즘 글로벌 반도체업계는 졸면 죽는 전쟁터다. ‘대기업 특혜’ 논란을 걱정할 만큼 한가한 상황이 아니다. 정부와 국회가 “자국 기업 지원을 주저하는 한국이 외국 기업까지 팍팍 밀어주는 경쟁국들을 어떻게 이기겠느냐”는 업계의 목소리를 한번 더 곱씹어봤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