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8일 경복궁 동궁의 남쪽 지역에서 대형 화장실 유구(遺構, 건물의 자취)가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궁궐 내에서 화장실 유구가 나온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이때까지 경복궁 화장실의 존재는 '경복궁배치도' '궁궐지' 등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실은 주로 궁궐의 상주 인원이 많은 지역에 밀집돼 있었다. 특히 경회루 남쪽을 비롯해 현재 국립민속박물관 부지 등에 많았던 것으로 추정됐다.
이번에 발굴된 화장실은 동궁 권역 중에서도 남쪽 지역에 있다. 동궁과 관련된 하급 관리와 궁녀, 궁궐을 지키는 군인들이 주로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궁 권역의 건물들은 1868년(고종 5년)에 완공됐지만 일제강점기 1915년에 다른 시설이 들어서면서 허물어지거나 훼손됐다. 원래 모습이 많이 훼손됐는데도 화장실의 흔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던 것은 기생충 알이 대량으로 발견된 덕분이다. 땅에서는 1g당 1만8000개에 달하는 기생충 알이 발견됐고, 오이와 가지 들깨 등의 씨앗도 검출됐다. 문화재청은 "각종 과학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 화장실은 1868년 경복궁이 중건될 때 만들어져 20여년 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나온 화장실의 가장 큰 특징은 현대 정화조와 유사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화장실 구조는 길이 10.4m, 너비 1.4m, 깊이 1.8m의 좁고 긴 네모꼴 석조 구덩이 형태로, 바닥부터 벽면까지 모두 돌로 돼 있어 분뇨가 구덩이 밖으로 스며 나가 토양을 오염시키는 걸 막았다. 정화시설 내부로는 물이 들어오는 구멍 하나와 나가는 구멍 두 개가 있다. 유입된 물은 화장실에 있는 분변과 섞여 분변의 발효를 빠르게 하고 부피를 줄여 바닥에 가라앉히는 기능을 했다. 오수는 정화수와 함께 궁궐 밖으로 배출됐다. 이런 구조는 현대식 정화조 구조와 유사하다.
일각에서는 이 화장실이 '세계에 유례 없이 정화시설을 갖춘 대형 화장실'이라며 기술적 측면에 주목하는 시각도 있다. 다만 이 화장실이 지어지기 5년 전 영국 런던에서는 이미 지하철이 개통된 점을 감안하면 특별한 과학기술적 의미는 없고, 대신 궁궐에서 일하던 사람들의 생활을 더 세심하게 유추해볼 수 있게 됐다는 의미가 큰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은 "그동안 관심이 적었던 조선 시대 궁궐의 생활사 복원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