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금융위, 은행 공동 '대출 갈아타기' 플랫폼 허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환대출 관련 금융사 반발 거세자
"빅테크 우월적 지위 남용 없을 것"
빅테크 플랫폼에 참여 여부도
은행들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
"빅테크 우월적 지위 남용 없을 것"
빅테크 플랫폼에 참여 여부도
은행들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
정부가 올 10월 도입을 목표로 전 금융권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추진 중인 가운데 은행권이 자체적으로 공동 플랫폼을 만들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금융회사들은 토스 카카오페이 등 빅테크·핀테크가 운영할 플랫폼에 참여할지 여부와 수수료 등도 직접 결정할 수 있다.
금융위원회는 핀테크사의 서비스 진입 요건은 물론 수수료, 운영 시간 등 이해가 첨예하게 갈렸던 부분에 대해 금융사의 결정권을 최대한 보장해주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기존 금융사들이 ‘플랫폼을 운영할 빅테크·핀테크사의 하청업체로 전락할 수 있다’며 강한 불만을 표시한 데 따른 것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지난 6일 대출 갈아타기 플랫폼 구축과 관련해 은행권과 간담회를 열고 의견을 청취했다. 금융위 고위 관계자는 “은행들이 우려하는 부분에 상당히 공감했다”며 “수수료, 플랫폼 참여 여부 등에 대해 은행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 (빅테크·핀테크가) 우월적 지위를 남용하는 일이 없도록 견제 장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은행연합회 주도의 은행권 공동 플랫폼도 추진하겠다면 금융위가 반대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향후 나올 핀테크사의 플랫폼에도 은행이 원치 않으면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한 은행 관계자는 “금융위가 ‘플랫폼의 주인공은 은행’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했다”고 전했다.
금융위가 추진 중인 대환대출 플랫폼은 금융소비자가 은행, 카드사, 저축은행 등의 대출 상품을 모바일 앱이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한눈에 비교하고 손쉽게 갈아탈 수 있는 서비스다. 소비자는 일일이 금리를 비교하거나 별도 방문, 서류 제출을 할 필요 없이 하나의 플랫폼에서 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해져 1700조원 규모의 가계대출 시장에 격변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은행들은 이를 두고 “빅테크에 금융상품을 납품하는 하청업체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내 왔다. 각 은행도 서비스를 할 수 있지만, 막대한 이용자 기반과 플랫폼 역량을 갖춘 카카오페이, 토스 등에 사람들이 몰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은행들은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될 핀테크 업체에 대출 판매 수수료를 내야 하는 점에 불만이 컸다. 오랜 시간 구축해온 대출 시스템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공동 플랫폼을 마련하겠다고 금융위에 최근 제안한 배경이다. 금융위는 ‘자체 플랫폼’에 대해서도 은행의 자율을 최대한 보장하겠다는 방침이다. 소비자의 결정권을 강화한다는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취지에만 부합하면 큰 문제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빈난새/정소람 기자 binthere@hankyung.com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지난 6일 대출 갈아타기 플랫폼 구축과 관련해 은행권과 간담회를 열고 의견을 청취했다. 금융위 고위 관계자는 “은행들이 우려하는 부분에 상당히 공감했다”며 “수수료, 플랫폼 참여 여부 등에 대해 은행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 (빅테크·핀테크가) 우월적 지위를 남용하는 일이 없도록 견제 장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은행연합회 주도의 은행권 공동 플랫폼도 추진하겠다면 금융위가 반대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향후 나올 핀테크사의 플랫폼에도 은행이 원치 않으면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한 은행 관계자는 “금융위가 ‘플랫폼의 주인공은 은행’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했다”고 전했다.
금융위가 추진 중인 대환대출 플랫폼은 금융소비자가 은행, 카드사, 저축은행 등의 대출 상품을 모바일 앱이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한눈에 비교하고 손쉽게 갈아탈 수 있는 서비스다. 소비자는 일일이 금리를 비교하거나 별도 방문, 서류 제출을 할 필요 없이 하나의 플랫폼에서 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해져 1700조원 규모의 가계대출 시장에 격변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은행들은 이를 두고 “빅테크에 금융상품을 납품하는 하청업체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내 왔다. 각 은행도 서비스를 할 수 있지만, 막대한 이용자 기반과 플랫폼 역량을 갖춘 카카오페이, 토스 등에 사람들이 몰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은행들은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될 핀테크 업체에 대출 판매 수수료를 내야 하는 점에 불만이 컸다. 오랜 시간 구축해온 대출 시스템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공동 플랫폼을 마련하겠다고 금융위에 최근 제안한 배경이다. 금융위는 ‘자체 플랫폼’에 대해서도 은행의 자율을 최대한 보장하겠다는 방침이다. 소비자의 결정권을 강화한다는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취지에만 부합하면 큰 문제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빈난새/정소람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