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성장주는 없다…유동성 리스크 심할 땐 배당주가 대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배당주의 시간이 돌아왔다. 최근 3개월간 국내주식형 공모펀드에서 투자 자금이 순유출된 반면 배당주 펀드 260개에는 2630억원이 유입됐다. 코로나19 델타 변이바이러스 충격으로 증시 변동성이 커지자 안정적인 배당주에 눈을 돌리는 투자자들이 늘었다. 올 들어 금리가 출렁이면서 성장주가 주춤한 것도 원인 중 하나다. 9일 코스피 지수는 장중 한때 3200선이 무너졌다.
이날 서울 베어링자산운용 본사에서 진행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최상현 베어링자산운용 주식운용본부 총괄본부장은 "코로나19 이후 주식은 유동성의 함수가 됐다"며 "금리 하락 국면에서 성장주가 주목을 받았지만 앞으로도 그러리라고 장담할 순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진짜 의도를 우리는 모른다'는 게 하반기 주식 시장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이라 말했다. 최 본부장은 "코로나19 이후 각국 정부가 대규모 부양책을 쏟아냈지만 점차 유동성 공급을 줄여나가기 마련"이라며 "문제는 시장이 기대하는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의 속도와 규모와 실제 Fed의 정책이 불일치하면 주식 시장에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끝 없이 치솟는 증시를 바라보며 주식 시장에 처음 진입한 '주린이'들에게 올해 증시는 롤러코스터와 같다. 최 본부장은 "주식은 영원히 오르지 않는다"며 "주식 투자자라면 언제든지 주가 조정이 올 수 있다는 걸 염두에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목표 수익률뿐 아니라 내가 어느 선까지 변동성을 감당할 수 있는지 자산 상황, 투자 성향 등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가치주냐 성장주냐' 따지기보다는 개별 종목의 '기초 체력'을 따져보라고 조언했다. "영원한 성장주는 없고, 지금의 가치주도 언젠가는 성장주였다"는 것이다.
그럼 대체 기초 체력이 좋은 종목은 어떻게 고를까. 배당 성향이 힌트가 될 수 있다. 최 본부장은 "재무구조가 우량하고 배당을 많이 준다면 주주를 배려하고 거버넌스도 안정적인 기업일 확률이 높다"며 "배당 수익의 누적이 갖는 힘은 크므로 불확실성을 줄이고 긴 호흡으로 꾸준히 재산을 축적해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 투자자 대부분은 저축하듯, 하지만 은행 예금이자율보다는 높은 이자율을 기대하며 투자한다"며 "이런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배당주 투자가 훌륭한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실적 정상화에 따른 배당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 국면에서 배당을 축소하거나 포기했던 기업들이 올해 다시 배당을 실시해서다.
베어링자산운용은 국내에서 가장 먼저 배당주펀드를 선보인 운용사다. 최 본부장은 국내에서 손꼽히는 배당주 투자 전문가로, 2013년부터 베어링자산운용에서 주식 운용을 담당하면서 대표 상품 베어링고배당펀드를 운용해왔다. 지난달 말 기준 이 펀드의 1년간 수익률은 65.02%다. 주식팀 14명 중 9명이 애널리스트로 구성될 정도로 철저한 리서치에 기반한 장기·가치투자 전략을 구사한다.
배당주 등 장기투자 시에는 퇴직연금이 훌륭한 '실탄'이 될 수 있다. 최 본부장은 "퇴직연금을 정기예금으로 사실상 방치해놓는 경우가 많다"며 "퇴직연금을 일정 부분 배당주에 꾸준히 넣는 것도 좋은 투자 전략"이라고 말했다.
경영·투자 분야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가 강조되는 것도 배당주가 주목 받는 이유 중 하나다. 기업들은 주주환원정책을 강화를 위해 배당을 늘려나가는 추세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이날 서울 베어링자산운용 본사에서 진행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최상현 베어링자산운용 주식운용본부 총괄본부장은 "코로나19 이후 주식은 유동성의 함수가 됐다"며 "금리 하락 국면에서 성장주가 주목을 받았지만 앞으로도 그러리라고 장담할 순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진짜 의도를 우리는 모른다'는 게 하반기 주식 시장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이라 말했다. 최 본부장은 "코로나19 이후 각국 정부가 대규모 부양책을 쏟아냈지만 점차 유동성 공급을 줄여나가기 마련"이라며 "문제는 시장이 기대하는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의 속도와 규모와 실제 Fed의 정책이 불일치하면 주식 시장에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끝 없이 치솟는 증시를 바라보며 주식 시장에 처음 진입한 '주린이'들에게 올해 증시는 롤러코스터와 같다. 최 본부장은 "주식은 영원히 오르지 않는다"며 "주식 투자자라면 언제든지 주가 조정이 올 수 있다는 걸 염두에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목표 수익률뿐 아니라 내가 어느 선까지 변동성을 감당할 수 있는지 자산 상황, 투자 성향 등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가치주냐 성장주냐' 따지기보다는 개별 종목의 '기초 체력'을 따져보라고 조언했다. "영원한 성장주는 없고, 지금의 가치주도 언젠가는 성장주였다"는 것이다.
그럼 대체 기초 체력이 좋은 종목은 어떻게 고를까. 배당 성향이 힌트가 될 수 있다. 최 본부장은 "재무구조가 우량하고 배당을 많이 준다면 주주를 배려하고 거버넌스도 안정적인 기업일 확률이 높다"며 "배당 수익의 누적이 갖는 힘은 크므로 불확실성을 줄이고 긴 호흡으로 꾸준히 재산을 축적해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 투자자 대부분은 저축하듯, 하지만 은행 예금이자율보다는 높은 이자율을 기대하며 투자한다"며 "이런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배당주 투자가 훌륭한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실적 정상화에 따른 배당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 국면에서 배당을 축소하거나 포기했던 기업들이 올해 다시 배당을 실시해서다.
베어링자산운용은 국내에서 가장 먼저 배당주펀드를 선보인 운용사다. 최 본부장은 국내에서 손꼽히는 배당주 투자 전문가로, 2013년부터 베어링자산운용에서 주식 운용을 담당하면서 대표 상품 베어링고배당펀드를 운용해왔다. 지난달 말 기준 이 펀드의 1년간 수익률은 65.02%다. 주식팀 14명 중 9명이 애널리스트로 구성될 정도로 철저한 리서치에 기반한 장기·가치투자 전략을 구사한다.
배당주 등 장기투자 시에는 퇴직연금이 훌륭한 '실탄'이 될 수 있다. 최 본부장은 "퇴직연금을 정기예금으로 사실상 방치해놓는 경우가 많다"며 "퇴직연금을 일정 부분 배당주에 꾸준히 넣는 것도 좋은 투자 전략"이라고 말했다.
경영·투자 분야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가 강조되는 것도 배당주가 주목 받는 이유 중 하나다. 기업들은 주주환원정책을 강화를 위해 배당을 늘려나가는 추세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