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의 MZ(1980~2000년대생) 세대를 겨냥한 소비재 기업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 중국 공산당이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길들이기에 나서면서다. 자국 브랜드를 육성하는 중국 정부 방침에 소비재 기업이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리면서 수년 안에 중국 기술 분야 투자금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 MZ세대 겨냥한 소비재 뜬다

투자분석회사 프레킨은 수년 내 중국 소비재 스타트업의 투자 규모가 기술 기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고 9일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2018년 이후 중국 IT 스타트업 등에 투입된 자금은 1120억 달러(약 128조6900억원)에 이른다. 소비재 기업은 절반을 조금 넘는 620억 달러 투자를 받았다.

상하이에 있는 마케팅업체 차이나스키니의 마크 태너 이사는 "중국 정부가 규제를 강화하면서 기술 기업처럼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였던 분야 투자 장벽이 높아졌다"며 "식음료, 패션, 레저 등 소비재 분야는 정책 지원이 쏠리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했다.

'싸고 질 나쁜 제품'이라는 중국산 이미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자국 브랜드 육성에 앞장서고 있다. 2017년부터 매년 5월 10일을 중국 브랜드의 날로 지정한 데 이어 온오프라인을 융합한 '신소비' 기업 지원 방안도 발표했다. 나이키 코카콜라 등에 맞서는 글로벌 챔피언을 키우는 게 목표다.

정부 지원과 소비 확대가 맞물리면서 세계 최대 소비 시장인 중국에서 소비재 기업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 JD닷컴에 따르면 2020년 중국산 브랜드 제품 성장률은 글로벌 브랜드 제품보다 6% 높았다. 화장품기업 퍼펙트다이어리는 중국 색조 화장품 시장에서 로레알과 에스티로더를 턱밑까지 따라잡았다. 중국 식품회사 페이허(미국기업명 퍼무스)는 이미 자국 분유시장에서 1위로 올라섰다.

○소비재 기업으로 몰리는 투자금

지난해 11월 중국 화장품 기업으로는 처음 미국 나스닥 시장에 진출한 얏센(퍼펙트다이어리 모회사)은 C(중국)-뷰티의 상징으로 불린다. 중국 소비재 굴기를 보여주면서 미국 사모펀드 워버그핀커스, 중국 최대 투자전문회사 힐하우스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

중국의 완구업체 팝마트는 지난해 12월 홍콩 주식시장에 상장하면서 6억4400만 달러의 자금을 확보했다. 찻집 체인점인 헤이티는 미국 IDG, 중국 세쿼이어차이나 등이 투자하면서 기업가치가 92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헤이티의 경쟁사인 나유키도 지난달 홍콩에서 상장 후 6억5600만 달러를 모금했다.

디디추싱 등 기술 기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중국 IT 기업들의 자금 모금일정에는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미국 의료 인공지능(AI)업체 링크닥은 최근 미국 기업공개(IPO) 절차를 중단했다. 중국 당국의 정책에 따라 변동성이 큰 기술이나 교육 분야에 비해 소비재 분야는 정책 리스크가 낮다는 것도 투자자에게는 장점이다.

중국 내 SNS나 생중계(라이브스트리밍) 플랫폼 시장이 커지는 것도 소비재 기업 성장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투자업계에서는 내다봤다. 한 컨설팅업체는 올해 중국에서 라이브스트리밍으로 판매되는 온라인 제품 시장이 25% 성장해 1조2000위안(176조97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디지털 시장에서 성장한 인플루언서 등이 신흥 기업가로 변신하면서 중국에서 새 브랜드가 탄생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다만 쉽게 성장하고 빠르게 식는 시장 분위기에서 거품이 생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온라인 팔로워만 18만명에 이르던 에이핑크베이비는 아이섀도 판매업체로 변신했지만 올초 파산했다.

높은 성장세를 이어오던 중국의 내수 시장 성장률이 주춤해진 것도 투자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소비 여력을 보여주는 중국의 소매 판매율은 12.4%로 전월보다 5.3%포인트 감소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