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수출 '탄소 리스크' 가시화…"韓기업 받아들 청구서만 연 1兆"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EU, 탄소국경세 도입 임박
철강·화학 등 주력업종 탄소배출 많아 타격 우려
KIEP "t당 30유로 땐 年 1.9% 관세 더 물리는 셈"
정부, 연구용역 발주…"예외 인정해달라" 외교전
철강·화학 등 주력업종 탄소배출 많아 타격 우려
KIEP "t당 30유로 땐 年 1.9% 관세 더 물리는 셈"
정부, 연구용역 발주…"예외 인정해달라" 외교전

한국도 EU 탄소세 타깃

CBAM은 EU 역내로 수입되는 제품 중 자국 제품보다 탄소배출이 많은 제품에 대해 비용을 부과하는 조치다. 지난달 초 공개된 초안에 따르면 EU는 2023년부터 전기·시멘트·비료·철강·알루미늄 등 탄소배출이 많은 품목에 이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오는 14일 EU 집행위원회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55% 감축하기 위한 입법 패키지 ‘핏 포 55(Fit for 55)’를 발표하면서 구체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산업계에선 CBAM이 본격 도입되면 다른 국가에 비해 국내 수출기업의 타격이 더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탄소국경세 부과 대상이 대부분 한국이 강점을 보이고 있는 수출 산업에 집중돼 있어서다. 특히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철강 분야에 타격이 집중될 전망이다.
KIEP는 “한국은 무역 의존도가 높고 이산화탄소가 다량 배출되는 제조업 위주의 교역 구조를 가지고 있어 타격이 클 것”이라며 “특히 EU가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면서 이산화탄소를 다량으로 순수입하는 기계 및 장비류, 수입에 내재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아 배출 집약도가 높은 금속 분야 등이 상당한 부담을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외 인정해 달라” 대책 마련 착수
정부는 탄소국경세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산업부는 최근 ‘철강산업 글로벌 탄소국경조정 대응 전략 및 경쟁력 강화방안’을 주제로 연구 용역을 공고했다.외교전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지난 6일 한국을 찾은 프란스 티메르만스 EU 그린딜 담당 수석부집행위원장을 만나 이중규제 우려가 없도록 한국과 같은 배출권 거래제 시행 국가를 CBAM 적용에서 제외해달라고 요청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11일 리시 수낙 영국 재무장관과의 면담에서 각국의 기존 정책과 중복되는지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다.
다만 CBAM이 초안대로 강력하게 추진될지는 미지수라는 전망도 나온다. 수입품을 동종 국산품과 동등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세계무역기구(WTO)의 내국민대우 원칙에 어긋날 소지가 있어서다. 미국 등 주요국도 탄소국경세가 사실상 보호무역 조치로 쓰일 수 있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EU 내에서도 독일 등 수출 중심인 회원국은 상대국의 보복 조치를 우려해 CBAM에 소극적인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연합(EU)이 도입 예정인 탄소국경조정제도나 관세를 가리킨다. 영어로는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EU는 EU 제품보다 탄소를 더 많이 배출한 수입품에 일종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이 법안의 초안은 오는 14일 공개된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 조치지만 무역장벽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