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악당' 오명 벗었다…포스코·한화 '그린 변신'에 투자자 환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시가총액 증가율 1,2위 오른 비결은
한화, 모빌리티·항공우주 등 투자로 올들어 시총 29%↑
포스코, 배터리·전기차 부품 생산…SK, IPO로 가치 올려
새로운 성장스토리 없는 삼성·롯데는 10대 그룹 중 하위권
한화, 모빌리티·항공우주 등 투자로 올들어 시총 29%↑
포스코, 배터리·전기차 부품 생산…SK, IPO로 가치 올려
새로운 성장스토리 없는 삼성·롯데는 10대 그룹 중 하위권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02.23268134.1.jpg)
!['기후 악당' 오명 벗었다…포스코·한화 '그린 변신'에 투자자 환호](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AA.26904638.1.jpg)
미래 선점한 그룹이 시총 경쟁에서 우위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올초 신년사에서 “미래 모빌리티, 항공우주, 디지털 금융 솔루션 등 신규 사업에서 세계를 상대로 미래 성장 기회를 선점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 성장 기회’는 올해 한화그룹의 시총을 밀어올린 키워드다. 한화그룹 상장사들의 시총은 올 들어 28.8% 늘었다. 10대 그룹 중 시총 증가율 2위다.핵심 키워드는 ‘脫탄소’
시총 증가율 상위 그룹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또 하나의 단어는 ‘탈(脫)탄소’다. 철강 화학 등 오래된 산업이 혁신을 통해 미래산업으로 진화하는 스토리에 시장이 환호한 결과다.10대 그룹 중 시총 증가율 1위인 포스코는 더 이상 ‘굴뚝기업’이 아니다. 작년 말 ‘2050 탄소중립(탄소 순배출량이 0이 되는 상태)’ 방침을 선언한 데 이어 계열사별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미래를 선도할 유망 기술을 찾고 있다. 포스코케미칼의 경우 연간 6만t 규모 2차전지 양극재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하자 지난 8일 하루에만 주가가 6.7% 올랐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친환경 전기차 부품 생산능력을 확충해 2025년 글로벌 시장 20%를 점유하는 게 목표다.
국내 대기업들의 전략산업이 된 2차전지와 여기에 필요한 소재산업을 이끄는 주력 계열사 대부분이 과거 ‘공해 산업’의 대명사로 불렸던 화학업종에 속한 기업들이다.
“CEO는 스토리텔러가 돼야 한다”
이런 스토리에 담긴 미래는 기업공개(IPO)로 이어져 시총을 키우기도 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각 계열사 최고경영자(CEO)에게 “CEO는 스토리텔러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 배경이다. SK그룹은 올 3월 SK바이오사이언스, 5월 SK아이이테크놀로지 상장에 성공했다. 두 종목을 제외하면 시총 증가율은 7.18%에 불과하다. 새로 상장된 회사들 덕에 시총 증가율 23.03%로 3위에 올랐다. 최 회장은 “매력적인 목표와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담긴 파이낸셜 스토리가 시장에서 신뢰를 얻어야 기업가치가 높아지는 시대로 변하고 있다”고 했다. 2010년 말과 비교하면 SK그룹의 시총 상승률은 173.18%에 달해 롯데그룹(32.71%), 현대차그룹(27.38%) 등을 압도한다.미래 스토리에 더해 코로나19 회복 국면에서 리오프닝(경기 재개) 수혜가 가능한지 여부도 시총 운명을 갈랐다. 10대 그룹사 전체 계열사 중 시총 상승률 1위는 포스코강판(348.28%)으로, 경기회복에 따라 강판 가격이 급등한 덕을 봤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