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과학도시 대전' 걸맞지 않은 도시철도계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선 트램' 고집하는 대전시
시민 외면하는 편의주의 아닌가
임호범 대전/지식사회부 기자
시민 외면하는 편의주의 아닌가
임호범 대전/지식사회부 기자
![[취재수첩] '과학도시 대전' 걸맞지 않은 도시철도계획](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07.26922024.1.jpg)
대전시가 추진 중인 트램 건설 사업에 대해 시민들과 철도업계가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대전 트램은 서대전역~정부청사~유성온천~진잠~서대전역을 도는 순환선이다. 2019년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되면서 총연장 36.6㎞, 정거장 35개, 차량기지 1개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확정됐다. 기본·실시설계는 내년까지 마무리하고 2027년 개통을 목표로 총사업비 7492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시민들은 이 같은 대전시 해명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일부라고는 하지만 공중에 전선을 설치하게 되면 도심 경관이 지저분해지고 무엇보다 재산권 행사에도 제약이 생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피해를 입지 않을까 한숨부터 나온다”는 시민도 많다.
철도업계도 우려를 나타내기는 마찬가지다. 대전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선진기술을 보유한 업체들로부터 보완 제안을 받거나, 관련 기술을 발표할 시간을 내주지 않으려 해서다. 철도업계 관계자는 “시나 연구원이 선진국에서 널리 쓰이는 지면급전시스템(GLPS) 방식 등 첨단기술을 아예 배제하려 하고 있다”며 “시민 편의를 무시하고 100년 전 기술에 안주하면 국내 트램산업에 발전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 경우 시민과 관계자들에게 사정을 충분히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 그런데도 대전시는 ‘일방통행식’ 편의주의로 도시 경쟁력을 좌우할 중대사를 밀어붙일 태세다. 이쯤 되면 대전이 과연 과학도시를 자처할 자격이 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