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기모란 사퇴론에 "그런 말씀 아프게 듣고 있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 수석은 1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런 방역 상황에 대해서 청와대와 정부가 엄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고 또 죄송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서도 "다만 지금 그 4차 대유행 이 문제는 우리뿐만이 아니라 백신접종률이 굉장히 높은 미국, 영국 이스라엘 등에서도 매일 수만 명씩 확진이 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문제가 새롭게 나온 원인이 늘 걱정하던 델타변이 바이러스의 확산 여기에 계절적 요인이 겹쳐 있고 또 휴가철 이런 것들이 오면서 접촉 활동량이 많아지는 시기고 이런 것들이 이제 종합적으로 작용한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박 수석은 "다만 정부는 이렇게 힘든 와중에 민생경제의 어려움도 생각해야 되는 거 아니겠느냐"며 "방역전문가 의견을 가장 우선시해서 듣되, 정부는 이 가장 고통받는 민생경제를 어느 수준으로 어떻게 끌고 갈 것인가 하는 것도 또 한 축의 정부는 고민일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런 것들을 어떻게 지혜롭게 결정해야 하는가라는 것이 정부의 고민이고 그런 결정에 의해서 집행이 된다는 말씀"이라고 말했다.
'기모란 청와대 방역기획관은 왜 필요한 것이냐, 또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런 질문이 많으신 것을 저도 들었다"며 "기모란 방역기획관이 없는 청와대를 한번 생각을 해보면 늘 중대본, 방대본, 복지부로부터 무슨 보고를 계속 받아야 될 것 아니겠느냐. 그런 것이 따로 따로 이런 것들을 보고를 받거나 하다 보면 그것이 효율적이겠느냐"고 반문했다. 박 수석은 "그렇기 때문에 기모란 방역기획관은 어떤 이 모든 것을 컨트롤하는 컨트롤타워의 역할이 아니라 각 정부의 기구들과 청와대의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 청와대가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하는 가교역할"이라고 말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