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차기 대권주자 검색량 분석
구글 트렌드상 윤석열 압도적 1위
尹 37, 이재명 17, 이낙연 4
과거 3번 중 2번 D-300 검색량 1위 후보 대통령 당선
검색 관련 인기 키워드 보니
尹·이재명 대부분 부정적 키워드뿐
본질적으로 尹은 가족사, 이재명은 사생활 논란
尹의 입당, 이재명은 反이재명 연대가 관건

전문가들은 윤 전 총장은 정당 가입이, 이 지사는 반대파 흡수 여부가 향후 리스크 관리에 있어 중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尹 검색량, 이재명의 2배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4에 그쳤다. 단어 검색량을 나타내는 구글 트렌드는 가장 많은 날을 100 기준으로 놓고 상대적인 검색량 추이를 나타내는 지표다.
네이버 검색량에서도 윤 전 총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0일 간 하루를 제외하고는 모두 윤 전 총장이 앞섰다.
과거 3번의 대선 중 2번은 차기 정부 출범 300일 전 한달 간 구글 평균 검색량 1위 후보가 대통령이 됐다. 단순 확률로 따지면 67%다. 그만큼 온라인전이 중요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검색량 1위 후보가 대통령이 되지 않은 것은 18대 대선이다.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이 당선됐지만, 새 정부 출범 300일 전에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당시 1위를 기록했다. 구글 트렌드는 2004년부터 데이터를 제공해 이전 대선 때는 살펴볼 수 없었다.
인기 키워드 보면 유력주자들 '리스크 한가득'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이 붙었던 지난 미국 대선에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이 검색량에서 위였으나 연임에는 실패하기도 했다.
사람들이 검색을 할 때는 후보자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경우도 많은데, 구글 트렌드는 긍·부정 모두 포함해 전체 검색량만을 나타낸다.
이러한 지표상 특성을 반영할 경우, 현재 검색량 전체 1위인 윤 전 총장이나 여권 1위인 이 지사는 일정 정도 위기에 처해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두 유력주자의 검색어 관련 인기 키워드에서 긍정적인 키워드를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구글 트렌드는 가장 대중 검색량이 많은 인기 키워드를 기준 100으로 두고 다른 키워드의 상대적인 관심도를 나타낸다.
윤 전 총장의 경우 가장 많은 검색량을 기록한 관련 키워드는 '파일'(100)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달 말 각종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된 윤 전 총장의 'X파일' 논란과 관련된 키워드다. X파일에는 윤 전 검찰총장의 성장과정, 처가 의혹 등 내용이 포함돼 있는 것을 알려지고 있다.
윤 전 총장 검색 관련 키워드는 이밖에 '부인'(96), '쥴리'42), '장모'(42), '김건희'(42) 등 처가와 관련된 키워드가 대거 상위권에 올라왔다. X파일을 비롯해 배우자 김건희씨의 논문 표절 의혹, 장모 최씨의 재판 등 논란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이 지사의 경우 1위는 스캔들 의혹이 불거진 배우 '김부선'(100)이다. 이는 배우 김부선씨가 지난 2010년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 이후 불거진 이 지사와의 '불륜 스캔들' 논란과 관련된 키워드다. 이 지사 측은 줄곧 "사실이 아니다"며 반박했다. 하지만 10년 동안 여전히 이 논란은 꺼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도 김씨와 이 지사는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이밖에 이 지사 관련 검색에는 '지지율'(86), '윤석열'(86), 나이(72), 관련주(14) 순으로 인기 키워드가 등장했다.
尹은 입당이, 이재명은 反이재명이 관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두 유력주자의 논란이 아직까지 지지율 판도에 영향을 미칠만큼 결정적이지는 않다면서도 리스크 관리가 갈수록 중요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본질적으로 윤 전 총장은 가족의 문제, 이 지사는 사생활이 각각 각종 논란의 중심이다. 양승함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는 "윤 전 총장의 경우, 한 개인이 결혼한 배우자 혹은 그의 가족의 일에 과연 얼마나 많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남고, 이 지사 논란에는 공직자의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어떻게 분리해서 생각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이 남는다"고 말했다. 이어 "유권자가 어느 것이 더 큰 문제점이라고 볼 지는 두고봐야 한다"고 말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과거 대선으로 미루어봤을 때 아무리 큰 논란이 있어도 후보 때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사례가 많아왔기 때문에 이번 논란들도 판이 뒤집힐 만한 논란은 아니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리스크 관리는 여전히 중요하다"면서 "윤 전 총장은 입당이, 이 지사는 반(反) 이재명 연대 흡수가 향후 자신들을 보호하는 데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