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앞둔 카카오뱅크 "은행 넘어 금융 전반의 혁신 이룰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6일과 27일 공모주 청약 실시…상장 예정일은 다음달 6일
공모자금 최대 2조5526억원
공모자금 최대 2조5526억원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는 20일 'IPO 프레스 톡(IPO PRESS TALK)'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으로만 은행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카카오뱅크는 1615만명의 고객과 1년반만의 흑자 전환 등을 통해 그 가능성을 증명했다"며 "상장 후 카카오뱅크는 대규모 자본을 기반으로 더 진화한 모습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일반 청약자들은 KB증권, 한국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현대차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다. 상장 예정일은 다음달 6일이다.
카카오뱅크는 향후 성장 지향점으로 '가장 많은 고객이 가장 많이 찾는 넘버원(No.1) 리테일뱅크, No.1 금융플랫폼'을 꼽고 은행 상품과 서비스의 지속적인 디지털 혁신과 상품 경쟁력을 확대해 고객들이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금융플랫폼으로 성장하겠다고 강조했다.
다음달부터 중‧저신용 고객들을 위한 새로운 신용대출 상품을 선보이고 개인사업자(SOHO) 대출 등 다양한 대출 상품도 내놓을 예정이다. 신용평가모형 개선도 지속한다. 휴대폰 소액결제정보 및 개인 사업자 매출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반영하고 카카오페이 등 카카오 공동체와의 데이터 협력도 속도를 더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기술을 핵심 역량으로 삼고 100% 내재화한 개발 문화를 갖고 있다. 이를 통해 마이데이터 사업, 글로벌 시장 진출, 기업간 거래(B2B) 솔루션 판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가능성을 찾아 카카오뱅크만의 방식으로 실행해 끊임없이 성장해 나갈 계획이다. 대규모 모바일 트래픽을 기반으로 광고 사업 등과 같은 플랫폼 기반 사업도 모색 중이다.
2017년 7월 대고객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뱅크는 모바일 완결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고객 경험과 차별화한 상품·서비스를 선보이며 국내 경제활동 인구 대비 57%인 1615만명이 사용하는 모바일은행이자 금융 모바일앱 부문에서 월간활성이용자(MAU) 1335만명(닐슨미디어 디지털 데이터 기준)으로 1위에 올라 있다.
카카오뱅크의 이용자 증가와 높은 활동성은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1분기 카카오뱅크 계좌이체 금액은 79조1000억원으로 전년동기(49조3300억원) 대비 160% 수준을 기록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