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보국' 李회장이 남긴 선물…"가까이서 보니 더 설렌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건희 컬렉션, 국민 곁으로
국립중앙박물관·현대미술관
국보 등 135점 21일부터 전시
국립중앙박물관·현대미술관
국보 등 135점 21일부터 전시
가지런히 놓인 청동방울 일습(국보 제255호)에서 2500여 년 전 한반도에 울려퍼지던 방울 소리가 들려오는 듯하다. 지금의 충청남도 땅에 살던 어느 부족의 족장은 때로는 풍요를, 때로는 전쟁의 승리를 간절히 기원하며 이 제기(祭器)를 흔들었을 테다. 옆에는 순금으로 된 ‘쌍용무늬 둥근고리 칼 손잡이 장식’(보물 제776호)이 놓여 있다. 정교하게 조각된 두 마리 용의 눈에 박힌 유리구슬이 1500년의 세월을 넘어 그윽한 푸른 빛을 뿜어낸다. 다시 고개를 돌리면 비가 갠 인왕산의 절경이 시야에 펼쳐진다.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국보 제216호)다.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 유족이 국가에 기증한 ‘이건희 컬렉션’이 20일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방대한 컬렉션 중 명품과 걸작을 엄선한 특별전 개막을 하루 앞두고 열린 언론공개회에서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국보와 보물 28건을 포함한 45건 77점을,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한국 근대미술 거장 34명의 대표작 58점을 만날 수 있다. 청동기시대 그릇과 철기시대 방울에서부터 삼국시대 불상, 조선백자를 거쳐 근현대 미술 사조를 아우르는 방대한 컬렉션이 본격적으로 국민과 마주하는 것이다.
전시에 나온 기증품 중 상당수는 교과서에도 실린 국가지정문화재다. 하지만 실제로 봤을 때의 감동은 사진과 비교를 불허한다. 직접 봐야 알 수 있는 세밀한 아름다움이 가득해서다. 박물관 관계자는 “기술 혁신과 디자인을 강조한 이 회장의 경영철학과 맞닿은 유물을 엄선했기 때문에 전시 수준이 특히 높다”고 말했다.
삼국시대인 4~5세기 무렵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토우 장식 그릇 받침’이 대표적이다. 토기 겉에는 각종 동물 모양 장식이 붙어 있는데, 백미는 달려드는 뱀을 피해 막 뛰어오르는 개구리의 모습이다. 생과 사의 경계에서 지면을 박차고 공중에 떠오르는 개구리의 뒷다리가 생동감을 발한다. 조선시대 관요에서 만든 최고급 백자 ‘천·지·현·황(天·地·玄·黃)이 새겨진 백자 사발’(국보 제286호)의 흰 빛깔도 그윽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이 밖에도 삼국시대 금동불 일광삼존상(국보 제134호), 고려 사경 대방광불화엄경 보현행원품(국보 제235호), 천수관음보살도(보물 제2015호) 등 정교한 불교 유물과 조선시대 정선의 ‘인왕제색도’, 김홍도의 ‘추성부도’(보물 제1393호) 등 걸작들이 관람객을 반긴다. 청동기시대의 ‘붉은 간토기’와 가야의 ‘배 모양 토기’부터 강물에서 유유히 노를 젓는 뱃사공을 그린 18세기 ‘백자청화산수무늬병’(보물 제1390호)까지 도자기 역사도 망라돼 있다.
컬렉션의 진가를 제대로 느낄 수 있도록 박물관이 마련한 여러 장치도 눈여겨볼 만하다. 전시관 초입의 대형 화면에서는 비온 뒤 인왕산의 실제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 작품 ‘인왕산을 거닐다’가 상영된다. 인왕산 호랑이가 엎드린 모습의 범바위부터 정상의 거대한 암벽인 치마바위까지 인왕제색도의 세부 묘사와 실제 풍경을 비교하며 감상할 수 있다. 전시관 안쪽에서는 빛이 바래기 전 고려 불화의 아름다움과 섬세함이 담긴 적외선과 X선 촬영 사진을 터치스크린으로 살펴볼 수 있다.
전시장 초입에는 백남순이 8폭 병풍에 그린 ‘낙원’, 이상범의 10폭 병풍 그림 ‘무릉도원’ 등 1920~1930년대 작품들이 걸렸다. 서화의 전통이 서양 미술과 만나 융합·변모하는 과정을 비교해 감상할 수 있다. 이어지는 전시에서는 김환기의 ‘산울림 19-II-73#307’, 박수근의 ‘절구질하는 여인’, 이중섭의 ‘흰 소’ 등 익숙한 걸작들을 만나게 된다. 미술관 관계자는 “이중섭의 황소 그림과 김환기의 전면점화가 한 점도 없다는 게 부끄러웠는데 이번 기증으로 한이 풀렸다”고 말했다.
전시장 마지막 부분에는 천경자의 ‘노오란 산책길’과 박생광의 ‘무녀’, 이응노의 ‘구성’ 등 1970~1980년대 회화와 김종영의 조각품들이 있다. 다양한 작가가 저마다 고유한 조형세계를 구축하며 한국 미술을 풍요롭게 한 시기다. 김은주 학예연구사는 “이건희 컬렉션 덕분에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탁월한 작가들을 재조명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 유족이 국가에 기증한 ‘이건희 컬렉션’이 20일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방대한 컬렉션 중 명품과 걸작을 엄선한 특별전 개막을 하루 앞두고 열린 언론공개회에서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국보와 보물 28건을 포함한 45건 77점을,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한국 근대미술 거장 34명의 대표작 58점을 만날 수 있다. 청동기시대 그릇과 철기시대 방울에서부터 삼국시대 불상, 조선백자를 거쳐 근현대 미술 사조를 아우르는 방대한 컬렉션이 본격적으로 국민과 마주하는 것이다.
고미술품의 세밀한 아름다움
국립중앙박물관의 ‘위대한 문화유산을 함께 누리다-고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에는 청동기시대·초기 철기시대 토기와 청동기, 삼국시대 금동불·토기, 고려시대 전적(典籍)·사경·불교미술품·청자, 조선시대 전적·회화·도자·목가구 등이 시대별로 두루 나와 있다. 이 회장의 컬렉션이 우리 역사의 전 시기와 분야를 아우름을 체감할 수 있는 자리다.전시에 나온 기증품 중 상당수는 교과서에도 실린 국가지정문화재다. 하지만 실제로 봤을 때의 감동은 사진과 비교를 불허한다. 직접 봐야 알 수 있는 세밀한 아름다움이 가득해서다. 박물관 관계자는 “기술 혁신과 디자인을 강조한 이 회장의 경영철학과 맞닿은 유물을 엄선했기 때문에 전시 수준이 특히 높다”고 말했다.
삼국시대인 4~5세기 무렵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토우 장식 그릇 받침’이 대표적이다. 토기 겉에는 각종 동물 모양 장식이 붙어 있는데, 백미는 달려드는 뱀을 피해 막 뛰어오르는 개구리의 모습이다. 생과 사의 경계에서 지면을 박차고 공중에 떠오르는 개구리의 뒷다리가 생동감을 발한다. 조선시대 관요에서 만든 최고급 백자 ‘천·지·현·황(天·地·玄·黃)이 새겨진 백자 사발’(국보 제286호)의 흰 빛깔도 그윽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이 밖에도 삼국시대 금동불 일광삼존상(국보 제134호), 고려 사경 대방광불화엄경 보현행원품(국보 제235호), 천수관음보살도(보물 제2015호) 등 정교한 불교 유물과 조선시대 정선의 ‘인왕제색도’, 김홍도의 ‘추성부도’(보물 제1393호) 등 걸작들이 관람객을 반긴다. 청동기시대의 ‘붉은 간토기’와 가야의 ‘배 모양 토기’부터 강물에서 유유히 노를 젓는 뱃사공을 그린 18세기 ‘백자청화산수무늬병’(보물 제1390호)까지 도자기 역사도 망라돼 있다.
컬렉션의 진가를 제대로 느낄 수 있도록 박물관이 마련한 여러 장치도 눈여겨볼 만하다. 전시관 초입의 대형 화면에서는 비온 뒤 인왕산의 실제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 작품 ‘인왕산을 거닐다’가 상영된다. 인왕산 호랑이가 엎드린 모습의 범바위부터 정상의 거대한 암벽인 치마바위까지 인왕제색도의 세부 묘사와 실제 풍경을 비교하며 감상할 수 있다. 전시관 안쪽에서는 빛이 바래기 전 고려 불화의 아름다움과 섬세함이 담긴 적외선과 X선 촬영 사진을 터치스크린으로 살펴볼 수 있다.
한국 근현대 미술 정립한 국민화가들
국립현대미술관의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에서는 김환기 박수근 이중섭 등 ‘국민 화가’들을 비롯해 한국 미술의 근간을 구축한 거장을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에 나온 작품만으로도 근현대 미술 사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전시장 초입에는 백남순이 8폭 병풍에 그린 ‘낙원’, 이상범의 10폭 병풍 그림 ‘무릉도원’ 등 1920~1930년대 작품들이 걸렸다. 서화의 전통이 서양 미술과 만나 융합·변모하는 과정을 비교해 감상할 수 있다. 이어지는 전시에서는 김환기의 ‘산울림 19-II-73#307’, 박수근의 ‘절구질하는 여인’, 이중섭의 ‘흰 소’ 등 익숙한 걸작들을 만나게 된다. 미술관 관계자는 “이중섭의 황소 그림과 김환기의 전면점화가 한 점도 없다는 게 부끄러웠는데 이번 기증으로 한이 풀렸다”고 말했다.
전시장 마지막 부분에는 천경자의 ‘노오란 산책길’과 박생광의 ‘무녀’, 이응노의 ‘구성’ 등 1970~1980년대 회화와 김종영의 조각품들이 있다. 다양한 작가가 저마다 고유한 조형세계를 구축하며 한국 미술을 풍요롭게 한 시기다. 김은주 학예연구사는 “이건희 컬렉션 덕분에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탁월한 작가들을 재조명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