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먼 방중 앞두고 中, 美에 보복제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로스 前 상무장관 등 겨냥
'反외국제재법' 첫 적용
'反외국제재법' 첫 적용
중국이 미국 국무부 2인자의 중국 방문 직전 ‘반(反)외국제재법’을 처음 적용해 미국 측 인사와 기관을 제재했다. 미·중 갈등 속 ‘기싸움’에 나선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23일 홈페이지를 통해 반외국제재법에 따라 윌버 로스 전 미 상무장관과 미·중경제안보검토위원회(USCC), 미 의회·행정부 중국위원회(CECC),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 홍콩민주주의위원회(HKDC) 소속 인사 7명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 반외국제재법은 중국 기업 등을 제재하는 외국에 보복을 가할 수 있도록 한 법이다.
중국 외교부는 “홍콩 문제는 중국의 내정”이라며 “미국은 이른바 ‘홍콩 기업 경보’라는 것을 만들어 홍콩의 기업환경을 근거 없이 더럽히고 불법적으로 홍콩 내 중국 당국자들을 제재했다”고 비난했다. 미국이 홍콩 인권탄압을 이유로 중국 측 인사와 기관을 제재하자 맞불 작전에 나선 것이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인사에 대한 두 번째 제재이기도 하다. 중국은 지난 1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취임식에 맞춰 마이크 폼페이오 전 국무장관 등 트럼프 행정부 인사 28명을 제재했다.
이에 대해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이 개인과 기업, 시민사회 조직을 어떻게 벌주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중국의 이번 제재는 25~26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의 중국 톈진 방문을 앞두고 이뤄졌다. 셔먼 부장관은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중국을 방문하는 최고위급 외교관으로 일본 한국 몽골에 이어 중국을 찾았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미국은 중국에 이래라저래라 말할 자격이 없다”며 “이런 수법은 (미·중 고위급 회담이 열렸던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도 통하지 않았고, 톈진에선 더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
중국 외교부는 지난 23일 홈페이지를 통해 반외국제재법에 따라 윌버 로스 전 미 상무장관과 미·중경제안보검토위원회(USCC), 미 의회·행정부 중국위원회(CECC),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 홍콩민주주의위원회(HKDC) 소속 인사 7명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 반외국제재법은 중국 기업 등을 제재하는 외국에 보복을 가할 수 있도록 한 법이다.
중국 외교부는 “홍콩 문제는 중국의 내정”이라며 “미국은 이른바 ‘홍콩 기업 경보’라는 것을 만들어 홍콩의 기업환경을 근거 없이 더럽히고 불법적으로 홍콩 내 중국 당국자들을 제재했다”고 비난했다. 미국이 홍콩 인권탄압을 이유로 중국 측 인사와 기관을 제재하자 맞불 작전에 나선 것이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인사에 대한 두 번째 제재이기도 하다. 중국은 지난 1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취임식에 맞춰 마이크 폼페이오 전 국무장관 등 트럼프 행정부 인사 28명을 제재했다.
이에 대해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이 개인과 기업, 시민사회 조직을 어떻게 벌주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중국의 이번 제재는 25~26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의 중국 톈진 방문을 앞두고 이뤄졌다. 셔먼 부장관은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중국을 방문하는 최고위급 외교관으로 일본 한국 몽골에 이어 중국을 찾았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미국은 중국에 이래라저래라 말할 자격이 없다”며 “이런 수법은 (미·중 고위급 회담이 열렸던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도 통하지 않았고, 톈진에선 더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