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땅투기 어떻게 근절하나…정부 내일 조직개편안 공청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8일 LH조직개편안 1차 공청회
'토지+주택사업' 자회사 수직 분리안 유력
'토지+주택사업' 자회사 수직 분리안 유력
![서울 강남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지역본부 모습. /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ZN.26564206.1.jpg)
공청회에서 논의될 LH조직개편은 지난달 7일 정부가 발표한 LH혁신방안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내용이다. 당시 혁신안에선 우선 LH 땅투기 사태의 진원지였던 공공택지 입지 조사 업무를 국토부가 회수하도록 했다. LH 본연의 기능과 관련이 적은 업무는 다른 기관으로 이관하거나 폐지했다. 인력은 하반기까지 1000명을 줄이고 조직 정밀진단을 거쳐 내년까지 1000명을 추가로 감축한다.
토지·주택·주거복지 기능을 중심으로 분리하는 세 가지 대안도 중점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번 공청회에서는 이 방안에 대한 내부 검토 내용을 공개하게 된다.
![LH 땅투기 어떻게 근절하나…정부 내일 조직개편안 공청회](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01.27055881.1.png)
두번째 대안은 주거복지 부문을 별도로 분리하고, 주택과 토지 부문은 통합을 유지하는 안이다. 이 안은 내부적으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주택과 토지 부문 권한 집중이 그대로 유지되는 한계가 있는데다 임대주택 건설 기능을 가진 주택 부문과 주거복지가 분리되기 때문이다.
세번째 대안은 두번째 대안처럼 주거복지 부문을 분리하되 주택과 토지 부문을 주거복지 부문 조직의 자회사로 두는 방안이다. 모회사는 주거복지 계획 수립과 서비스 제공 외에 자회사를 관리하고 감독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구조다. 정부는 이 안으로 자회사 수익을 배당받아 주거복지에 투자할 수 있고 주택·토지 부문에 대한 감시와 견제, 통제 기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LH 땅투기 어떻게 근절하나…정부 내일 조직개편안 공청회](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01.27055880.1.jpg)
28일 열리는 공청회는 국토교통부나 국토연구원 홈페이지에 접속후 안내 배너를 클릭해 시청할 수 있다. 유튜브에서 국토연구원을 검색 후 실시간 중계를 봐도 된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