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칼럼] 우리 기업도 탈중국 고민할 때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중 패권전쟁 격화 속
中정부는 자국기업 우선주의 강화
외국기업 점점 설 땅 없어져
美기업은 이미 중국 탈출 시작
글로벌 공급망 재편되는데
제대로 대응 못하면 위기 올 수도
안세영 < 서강대 명예교수 >
中정부는 자국기업 우선주의 강화
외국기업 점점 설 땅 없어져
美기업은 이미 중국 탈출 시작
글로벌 공급망 재편되는데
제대로 대응 못하면 위기 올 수도
안세영 < 서강대 명예교수 >
한때 잘나가던 기업이 몰락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세상 바뀐 것’ 모르고 과거에 번영을 가져다준 성공의 환상에 안주하는 것이다. 미·중 패권전쟁의 쓰나미가 몰려오는데 중국 시장에 대한 미련을 못 버리는 많은 우리 기업은 기다리면 지나가는 장맛비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전쟁으로 시작된 미·중 대결은 지금 두 나라가 국운을 건 체제전쟁으로 확전됐다. 중국공산당 체제의 우월성을 전 세계에 홍보하는 베이징에 워싱턴은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지금 밀리면 단순히 30년 후 패권이 ‘아메리카’에서 ‘차이나’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미국식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후퇴하고 중국식 공산체제가 보편적 가치로 부상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보통 전쟁은 국토방위나 영토 확장을 위해 하지만 미국은 지키고자 하는 체제, 즉 자유민주주의를 위해 전쟁하는 나라다. 역사적으로 독일, 일본, 소비에트 등 3개 제국을 멸망시킨 미국은 독특한 ‘제국붕괴 노하우’를 갖고 있다. 단순히 군사력뿐만이 아니라 상대국 경제의 아킬레스건을 타격하는 것이다.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은 전략방위구상(SDI)을 통해 의도적으로 군비경쟁을 가속해 소비에트 제국의 경제를 파탄시키며 결국 붕괴시켰다. 거칠게 도전하는 중화제국은 미국이 손봐줘야 할 네 번째 제국이다. 자력갱생한 소비에트와 달리 자유무역으로 성장한 중화제국의 아킬레스건은 중국을 세계의 생산공장으로 만든 글로벌 공급망에 있다. 지금 워싱턴의 전략은 탈중국화와 공급망 재편을 통해 중국 경제의 성장 동력을 해체해버리겠다는 것이다.
그 핵심에는 자급률이 15%밖에 안 되는 중국 반도체산업이 있다. 베이징은 반도체 굴기를 내세우며 호들갑을 떨지만 별로 희망이 없다. 반도체산업은 장비, 소재를 공급하는 서방국가의 도움 없이는 중국 혼자 절대 양성할 수 없는 산업이기 때문이다. 반도체가 없으면 중국은 산업 구조를 고도화할 수 없고 기술굴기도 물거품이 된다.
벌써 그 징후가 나타난다. 한참 날개를 달고 있는 중국 수출은 방역장비, PC 등 ‘후진타오형 범용제품’이다. 중국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진핑형 미래 제품’, 즉 5세대(5G) 이동통신, 하이테크 정보기술(IT) 기기 등을 수출해야 하는데 이는 첨단 반도체가 없으면 힘들다. 더욱이 서방국가에서 그나마 발붙였던 화웨이, ZTE 같은 통신장비가 쫓겨나고 있다. 얼마 전 미국 연방통신위원회가 내린 중국제 통신장비 철거명령이 그 예다.
이런 난감한 와중에 자국에 진출한 외투기업을 끌어안아도 모자랄 판인데, 베이징은 쌍순환을 내세우며 자충수를 두고 있다. 외투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중국 기업이 국내 시장을 지배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애국적 자국 기업 우선주의를 거꾸로 해석하면 외투기업을 토사구팽하겠다는 것이다.
‘중국제조 2025’에 의하면 반도체, 전기차 등 주력 산업에서 자국 기업 점유율을 70~80%까지 높이겠다고 한다. 앞으로 외국 기업이 발붙일 곳이 없다. 우리 기업도 미련 없이 중국에서 짐을 싸야 할 때다.
골드만삭스의 2020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 기업은 이미 탈중국을 본격적으로 하고 있다. S&P500 기업의 총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놀랍게도 2%도 안 된다. 일찌감치 차이나 리스크를 감지하고 짐을 싸고 나온 것이다. 문제는 ‘어떻게 베이징을 자극하지 않고 요령껏 빠져나오느냐’ 하는 것이다. 우선, 산업 내 특화전략을 통한 탈중국화다. 미국이 압박하는 반도체는 차세대 반도체이기에, 범용반도체는 중국 비즈니스가 자유롭다. 따라서 삼성전자처럼 5나노급 반도체공장은 애리조나에 짓고 기존 중국 공장에선 범용반도체를 계속 생산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차이나+Ones’ 전략으로 슬며시 빠져나오는 방법이다. 기존 중국 공장은 그냥 놔두고, 신증설은 제3국에 해 자매공장을 세우는 것이다. 제품 생산을 중국에 올인해 고전하는 애플과 달리, 40여 개국에 생산기지를 둔 나이키는 신장위구르 면화파동으로 아무리 베이징이 압력을 넣어도 느긋하게 대응하고 있다.
미·중 패권전쟁은 한국 기업에 기회일 수 있지만, 미국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전략에 둔감하게 대응하면 위기가 될 수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전쟁으로 시작된 미·중 대결은 지금 두 나라가 국운을 건 체제전쟁으로 확전됐다. 중국공산당 체제의 우월성을 전 세계에 홍보하는 베이징에 워싱턴은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지금 밀리면 단순히 30년 후 패권이 ‘아메리카’에서 ‘차이나’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미국식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후퇴하고 중국식 공산체제가 보편적 가치로 부상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보통 전쟁은 국토방위나 영토 확장을 위해 하지만 미국은 지키고자 하는 체제, 즉 자유민주주의를 위해 전쟁하는 나라다. 역사적으로 독일, 일본, 소비에트 등 3개 제국을 멸망시킨 미국은 독특한 ‘제국붕괴 노하우’를 갖고 있다. 단순히 군사력뿐만이 아니라 상대국 경제의 아킬레스건을 타격하는 것이다.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은 전략방위구상(SDI)을 통해 의도적으로 군비경쟁을 가속해 소비에트 제국의 경제를 파탄시키며 결국 붕괴시켰다. 거칠게 도전하는 중화제국은 미국이 손봐줘야 할 네 번째 제국이다. 자력갱생한 소비에트와 달리 자유무역으로 성장한 중화제국의 아킬레스건은 중국을 세계의 생산공장으로 만든 글로벌 공급망에 있다. 지금 워싱턴의 전략은 탈중국화와 공급망 재편을 통해 중국 경제의 성장 동력을 해체해버리겠다는 것이다.
그 핵심에는 자급률이 15%밖에 안 되는 중국 반도체산업이 있다. 베이징은 반도체 굴기를 내세우며 호들갑을 떨지만 별로 희망이 없다. 반도체산업은 장비, 소재를 공급하는 서방국가의 도움 없이는 중국 혼자 절대 양성할 수 없는 산업이기 때문이다. 반도체가 없으면 중국은 산업 구조를 고도화할 수 없고 기술굴기도 물거품이 된다.
벌써 그 징후가 나타난다. 한참 날개를 달고 있는 중국 수출은 방역장비, PC 등 ‘후진타오형 범용제품’이다. 중국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진핑형 미래 제품’, 즉 5세대(5G) 이동통신, 하이테크 정보기술(IT) 기기 등을 수출해야 하는데 이는 첨단 반도체가 없으면 힘들다. 더욱이 서방국가에서 그나마 발붙였던 화웨이, ZTE 같은 통신장비가 쫓겨나고 있다. 얼마 전 미국 연방통신위원회가 내린 중국제 통신장비 철거명령이 그 예다.
이런 난감한 와중에 자국에 진출한 외투기업을 끌어안아도 모자랄 판인데, 베이징은 쌍순환을 내세우며 자충수를 두고 있다. 외투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중국 기업이 국내 시장을 지배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애국적 자국 기업 우선주의를 거꾸로 해석하면 외투기업을 토사구팽하겠다는 것이다.
‘중국제조 2025’에 의하면 반도체, 전기차 등 주력 산업에서 자국 기업 점유율을 70~80%까지 높이겠다고 한다. 앞으로 외국 기업이 발붙일 곳이 없다. 우리 기업도 미련 없이 중국에서 짐을 싸야 할 때다.
골드만삭스의 2020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 기업은 이미 탈중국을 본격적으로 하고 있다. S&P500 기업의 총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놀랍게도 2%도 안 된다. 일찌감치 차이나 리스크를 감지하고 짐을 싸고 나온 것이다. 문제는 ‘어떻게 베이징을 자극하지 않고 요령껏 빠져나오느냐’ 하는 것이다. 우선, 산업 내 특화전략을 통한 탈중국화다. 미국이 압박하는 반도체는 차세대 반도체이기에, 범용반도체는 중국 비즈니스가 자유롭다. 따라서 삼성전자처럼 5나노급 반도체공장은 애리조나에 짓고 기존 중국 공장에선 범용반도체를 계속 생산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차이나+Ones’ 전략으로 슬며시 빠져나오는 방법이다. 기존 중국 공장은 그냥 놔두고, 신증설은 제3국에 해 자매공장을 세우는 것이다. 제품 생산을 중국에 올인해 고전하는 애플과 달리, 40여 개국에 생산기지를 둔 나이키는 신장위구르 면화파동으로 아무리 베이징이 압력을 넣어도 느긋하게 대응하고 있다.
미·중 패권전쟁은 한국 기업에 기회일 수 있지만, 미국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전략에 둔감하게 대응하면 위기가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