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7일 평양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앞에서 열린 제7차 전국노병대회에서 한 군인과 악수하고 있다. /노동신문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7일 평양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앞에서 열린 제7차 전국노병대회에서 한 군인과 악수하고 있다. /노동신문
남북한이 정상회담과 공동연락사무소 재건을 논의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정부와 청와대는 정상회담 개최를 논의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추진 가능성은 열어둬 문재인 정부가 임기 내 네 번째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28일 복수의 한국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남북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정상회담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으로 인해 시기와 세부 내용은 정해지지 않았다”며 “코로나19로 북한이 대면 회담을 꺼리면 화상 회담이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통신은 북한이 지난해 6월 일방적으로 폭파한 공동연락사무소를 재건하는 방향도 남북이 논의하고 있다며 재건할 경우 위치는 개성이 아니라 판문점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정부와 청와대는 즉각 남북 정상회담 논의 사실을 부인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남북 정상회담 개최를 논의 중이라는 외신 보도는 이미 밝혔듯이 사실이 아니다”며 “논의한 바 없다”고 했다. 통일부 당국자 역시 “남북은 여러 차례 친서를 교환했지만 연락통신선 복구 외에 정상회담 개최에 대해선 논의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정부가 정상회담 추진 가능성에는 문을 닫지 않으면서 화상 회담 가능성이 거론된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라디오에 출연해 “냇물을 건너가다 보면 징검다리도 필요하다”며 “남북 정상회담도 하나의 징검다리로, 최종 목표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도달과 비핵화”라고 말했다.

통일부는 남북 화상회의에 대비한다는 명목으로 지난 4월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 영상회의실을 구축했다. 남북이 이 시설을 활용해 고위급 화상회담을 먼저 열고 정상회담을 논의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은 지난 27일 라디오에서 “통신선 복원을 계기로 남북 양측에 설치된 시설을 활용해 화상 대화를 하면서 북한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것을 풀어주는 자세로 가면 문재인 정부 임기 만료 전 남북 정상회담도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락 채널 복원을 두고 남북 간 시각차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통신선 복구를 남북 관계 개선의 시작점으로 해석한 정부와 달리 북한은 주민들에게 이 사실을 알리지도 않았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