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경제제재에 코로나19 겹친 여파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지난해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31조4269억원으로 전년 대비 4.5% 감소했다. 극심한 가뭄으로 대규모 기근에 시달린 1997년(-6.5%) 후 23년 만에 최악의 성장률이다. 북한 경제는 2017년 -3.5%, 2018년 -4.1%로 뒷걸음질치다가 2019년 0.4%로 반짝 반등했다. 하지만 올해 재차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전체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 2위인 광공업(명목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28.1%)과 농림어업(22.4%)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전체 성장률을 갉아먹었다. 지난해 광공업과 농림어업의 생산 증가율은 각각 -5.9%, -7.6%로 집계됐다.
코로나19에 따른 국경봉쇄 조치로 철강을 비롯한 금속제품 수출이 쪼그라든 것이 북한 경제에 직격탄으로 작용했다. 작년 북한 교역규모(수출액+수입액)는 8억6000만달러로 2019년 대비 73.4% 감소했다. 안보리가 2016년 11월 북한의 광물 수출을 제한하고 금융제재를 강화하는 내용의 대북 결의안 2321호가 채택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북한의 지난해 수출은 9000만달러로 2019년에 비해 67.9%나 감소했다. 안보리의 비(非)제재 품목으로 그동안 북한 수출을 이끌었던 시계 수출도 지난해 86.3% 줄었다. 신발·모자·가발 수출도 92.7% 줄었다. 기상여건이 나빠지면서 농작물 재배량과 수산물 어획량이 줄어든 것도 북한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코로나19로 이동이 제한된 것도 내수에 충격을 줬다. 기타 서비스업 생산이 18.0%나 감소했다. 남북한 국민소득 격차는 더 벌어졌다. 북한의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137만9000원으로 추정된다. 한국(3762만1000원)의 27분의 1 수준이다. 2019년에는 26분의 1 수준이었다. 한은이 이번에 발표한 북한의 국민소득 자료는 통계청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농촌진흥청 등을 통해 취합하며, 인공위성 등을 통해 다각적으로 분석한 결과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