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이 지난해 상반기 국내 항공사 가운데 '항공기 정비'를 사유로 제시간에 출발·도착하지 못한 사례가 가장 많은 항공사로 집계됐다.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2024년 상반기 항공사 지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지난해 상반기 운항한 5만2883편 가운데 536편(국내선 344편, 국제선 192편)에서 정비를 이유로 지연됐다. 이는 2024년 상반기 운항한 10곳의 국내 항공사 가운데 가장 많은 숫자다.제주항공의 정비 지연은 전체 운항 편수가 더 많았던 대한항공(422편)을 뛰어넘은 것은 물론, 경쟁 저비용항공사(LCC)인 티웨이항공 315편, 진에어 243편, 에어부산 227편 등을 크게 웃돌았다는 지적이다.정비 지연율은 국내선 1.26%, 국제선 0.75%, 평균 1.01%로, 전체 평균 0.64%(국내선 0.61%, 국제선 0.68%)보다 0.37%포인트 높았다.제주항공은 앞서 2023년에도 정비를 사유로 한 지연이 943건(국내선 524건, 국제선 419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그해 제주항공의 전체 운항 편수는 9만7000여편으로 대한항공 14만4000편, 아시아나항공 10만1000편에 이어 3위였으나 정비 지연 건수는 국내 항공사 가운데 가장 많았다. 연간 정비 지연율은 0.97%로 전체 평균 0.59%보다 높았다.특히 제주항공이 항공기 가동 시간을 끌어올린 2023년 이후 다른 항공사에 비해 급격히 늘었는데, 항공 전문가들은 운항 증가에 따라 정비가 필요한 지점도 늘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제주항공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연간 정비 지연 건수가 각각 63건, 74건, 43건에 그쳤다. 정비 지연율도 0.05∼0.12%로 0.14∼0.16%인 각 해 평균을 밑돌았다.
야구선수 출신 방송인 김병현이 햄버거 가게 창업 후 수억원의 손해를 봤음에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김병현은 최근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햄버거 전문점을 폐업했다. 전직 메이저리거로 유명한 김병현은 자신의 모교인 광주제일고의 이름을 딴 수제버거 전문점을 오픈했지만, 청담동에 있는 가게에 앞서 광주 기아 챔피언스필드, 광주 동성고 인근 가게도 폐점한 바 있다. 김병현은 지난 5일 KBS 2TV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에 출연해 햄버거 가게 폐업기를 직접 공개하기도 했다. 김병현은 보건소를 방문해 "손해액이 3년 동안 2억원"이라며 "코로나 때보다 더 힘들다"면서 폐업을 결정한 이유를 밝혔다. 그러면서 "물가도 너무 많이 올랐고 월세도 감당하기 힘들고 특히 배달 수수료도 비싸서 코로나 대비 70%까지 매출이 줄었다"며 "사비로 메꾸고 방송해서 메꿨다, 와이프가 다시는 하지 말라고 말했다"고 부연했다. 담당 공무원은 "코로나 때보다 요즘이 더 폐업 건이 많다, 지역 특성상 강남이다 보니 신규도 많지만 3개월 만에 폐업한 곳도 있고 요즘 심각하다"라고 현황을 공유했다. 폐업을 결정하고 김병현은 홀과 주방의 식기구 처분에 나섰는데, 창업 당시 3000만원의 매입가를 지불한 것과 달리, 중고 매입자는 "110만원"을 불러 그럴 충격에 빠뜨리기도 했다. 하지만 김병현은 "우리 아이들이 좋아하는 햄버거 분야에서 성공하고 싶다"면서 이미 양재동에 재오픈을 계획하고 있다"며 폐업 이후에도 멈출 수 없는 요식업 도전을 밝혔다. 김병현은 정호영을 위해 폐업 전 재료 소진할 겸 마지막 햄
한국의 여성 고용률, 경제활동 참가율 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하위권에 머무른 것으로 조사됐다.6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OECD 38개 회원국 여성(15~64세) 고용 지표를 분석한 결과, 자난 2023년 한국 여성의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은 각각 61.4%, 63.1%를 기록했다. OECD 회원국 중 각각 31위 수준이다.여성 고용률은 2003년(51.2%) 27위에서 2023년(61.4%) 31위로 4계단 하락했다. 같은 기간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32위에서 31위로 올랐지만,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렀다. 2021년 기준 한국에서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은 56.2%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 규모와 인구가 비슷한 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000만 이상 국가, '30-50클럽' 7개국 중 가장 낮다.한경협은 한국이 여성 고용 선진국에 비해 유연한 근로환경과 가족돌봄 지원이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대표적으로 탄력적 근로시간제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한국은 최대 6개월 단위로 운영할 수 있다. 반면 선진국은 최대 1년 단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근로시간 선택권을 보장했다.돌봄 지원도 부족했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족정책 지출 비중은 지난 2020년 기준 1.5%에 그쳤다. 독일(2.4%)·영국(2.3%)·일본(2%)을 밑돈다.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인력 일자리의 유지와 확대가 중요하다"며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근로환경을 조성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해야 한다"고 밝혔다.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