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보다 미래 밝다"…이더리움 '디지털 원유' 될까 [임현우의 비트코인 나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런던 하드포크…중장기 호재 가능성에 주목
이더리움 망 효율성 개선하는
기능 업그레이드 작업 '하드포크'
거래 수수료 줄어 가격상승 전망
이더리움, 상반기 거래량 급증
거래대금 증가율 비트코인 앞서
"하드포크, 이미 가격에 선반영
막연한 급등 기대는 금물" 지적도
이더리움 망 효율성 개선하는
기능 업그레이드 작업 '하드포크'
거래 수수료 줄어 가격상승 전망
이더리움, 상반기 거래량 급증
거래대금 증가율 비트코인 앞서
"하드포크, 이미 가격에 선반영
막연한 급등 기대는 금물" 지적도
“이더리움이 코인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는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를 앞두고 있다.”(블룸버그통신)
“이더리움이 비트코인보다 좋은 가치저장 수단이 될 것이다.”(암호화폐 분석가 포레스트 프치비츠)
암호화폐 시장이 어수선한 상황에서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에 장밋빛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호재로 주목받는 것은 4~5일로 예고된 ‘런던 하드포크(hard fork)’다.
이더리움 망(網)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이 작업이 중장기적으로 코인값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암호화폐 시세를 결정하는 변수가 워낙 다양한 만큼 가격 상승을 장담할 수는 없다는 반론도 있다.
이견이 없으면 하드포크는 간단한 개선 작업으로 끝나지만 의견이 갈리면 아예 다른 종류의 암호화폐를 만들어 갈라서는 극단적인 결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더리움도 2016년 하드포크를 계기로 지금의 이더리움(ETH)과 이더리움클래식(ETC)으로 분리된 전례가 있다.
이더리움의 이번 하드포크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개발자 회의에서 결정됐다고 해서 ‘런던 하드포크’로 불린다. 4일 오후 10시부터 5일 오전 2시 사이에 이뤄질 전망이다. 시간을 정해놓고 하는 게 아니라 특정 블록의 생성 시점이 기준이어서 대략적인 시점만 예측할 수 있다.
이더리움 망을 이용하려면 ‘가스비’라는 수수료를 내야 하는데, 대부분 채굴자 몫으로 돌아간다. 더 높은 가스비를 적어내면 더 빨리 거래가 이뤄지는 구조여서 수수료가 쓸데없이 비싸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EIP-1559가 적용되면 가스비에 기본료(base fee)가 도입되고, 망이 붐빌 때 급행료(priority fee)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채굴자에겐 급행료만 주고, 기본 가스비는 소각해 없애버린다.
이렇게 되면 암호화폐 공급 증가량이 연간 약 4% 감소할 것으로 블룸버그통신은 내다봤다. “이더리움 역사상 가장 흥미롭고 중요한 업그레이드의 하나”(카일 사마니 멀티코인캐피털 공동창업자)라는 반응이 나오는 이유다.
암호화폐 시장에선 올 들어 이더리움을 둘러싼 기대가 부쩍 높아졌다. 업계에선 비트코인을 ‘코인계의 금(金)’에, 이더리움은 ‘코인계의 원유(原油)’에 비유한다. 이더리움이 디파이(DeFi)나 대체불가능토큰(NFT)과 같은 블록체인 응용 서비스를 키우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는 이유에서다.
미국 코인베이스는 지난달 26일 보고서에서 “상반기 이더리움의 거래량 증가 속도가 비트코인을 처음으로 앞질렀다”고 했다.
코인베이스가 세계 20개 암호화폐거래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이더리움 거래대금은 1조4000억달러로 지난해 상반기(920억달러)보다 1461% 급증했다. 같은 기간 3560억달러에서 2조1000억달러로 489% 늘어난 비트코인을 압도했다. 대니얼 폴로츠키 코인플립 창업자는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이 달성할 수 없는 응용 사례를 꾸준히 만들어내고 있다”고 했다.
일련의 하드포크와 별개로 이더리움은 ‘이더리움 2.0’으로 대변신을 앞두고 있다. 가장 큰 변화는 작업증명(PoW) 방식을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PoW는 비트코인처럼 고성능 컴퓨터를 돌려 채굴하는 것인데, 전기 낭비를 부채질한다는 비판이 많았다. PoS는 암호화폐 보유량이 많을수록 큰 보상을 얻는 방식으로 환경에 덜 해롭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이더리움이 비트코인보다 좋은 가치저장 수단이 될 것이다.”(암호화폐 분석가 포레스트 프치비츠)
암호화폐 시장이 어수선한 상황에서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에 장밋빛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호재로 주목받는 것은 4~5일로 예고된 ‘런던 하드포크(hard fork)’다.
이더리움 망(網)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이 작업이 중장기적으로 코인값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암호화폐 시세를 결정하는 변수가 워낙 다양한 만큼 가격 상승을 장담할 수는 없다는 반론도 있다.
하드포크의 의미는
하드포크는 쉽게 말해 ‘기능 업그레이드 작업’이다. 블록체인은 일종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기 때문에 꾸준한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블록체인 기술업체 온더의 정순형 대표는 “스마트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제조사가 일방적으로 준비하고 소비자는 따라가지만, 블록체인에서는 불특정 다수 참여자의 토론과 합의로 진행한다”고 했다.이견이 없으면 하드포크는 간단한 개선 작업으로 끝나지만 의견이 갈리면 아예 다른 종류의 암호화폐를 만들어 갈라서는 극단적인 결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더리움도 2016년 하드포크를 계기로 지금의 이더리움(ETH)과 이더리움클래식(ETC)으로 분리된 전례가 있다.
이더리움의 이번 하드포크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개발자 회의에서 결정됐다고 해서 ‘런던 하드포크’로 불린다. 4일 오후 10시부터 5일 오전 2시 사이에 이뤄질 전망이다. 시간을 정해놓고 하는 게 아니라 특정 블록의 생성 시점이 기준이어서 대략적인 시점만 예측할 수 있다.
무엇이 달라지나
하드포크는 블록체인업계에서 종종 벌어지기 때문에 그 자체로 호재가 될 수는 없고, 내용이 더 중요하다. 런던 하드포크에는 일련번호가 각각 붙은 5개의 개선 제안(EIP·Ethereum Improvement Proposal)이 반영된다. 이 중 핵심은 새로운 수수료 체계를 도입하는 ‘EIP-1559’다.이더리움 망을 이용하려면 ‘가스비’라는 수수료를 내야 하는데, 대부분 채굴자 몫으로 돌아간다. 더 높은 가스비를 적어내면 더 빨리 거래가 이뤄지는 구조여서 수수료가 쓸데없이 비싸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EIP-1559가 적용되면 가스비에 기본료(base fee)가 도입되고, 망이 붐빌 때 급행료(priority fee)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채굴자에겐 급행료만 주고, 기본 가스비는 소각해 없애버린다.
이렇게 되면 암호화폐 공급 증가량이 연간 약 4% 감소할 것으로 블룸버그통신은 내다봤다. “이더리움 역사상 가장 흥미롭고 중요한 업그레이드의 하나”(카일 사마니 멀티코인캐피털 공동창업자)라는 반응이 나오는 이유다.
거래대금 증가율, 비트코인 추월
결론적으로 이더리움 이용자의 거래비용은 줄지만 채굴자는 손해를 본다. 정 대표는 “채굴자 수입이 감소하기 때문에 당연히 반발이 심했다”면서도 “재단 측 논리가 워낙 탄탄해 받아들여지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암호화폐 시장에선 올 들어 이더리움을 둘러싼 기대가 부쩍 높아졌다. 업계에선 비트코인을 ‘코인계의 금(金)’에, 이더리움은 ‘코인계의 원유(原油)’에 비유한다. 이더리움이 디파이(DeFi)나 대체불가능토큰(NFT)과 같은 블록체인 응용 서비스를 키우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는 이유에서다.
미국 코인베이스는 지난달 26일 보고서에서 “상반기 이더리움의 거래량 증가 속도가 비트코인을 처음으로 앞질렀다”고 했다.
코인베이스가 세계 20개 암호화폐거래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이더리움 거래대금은 1조4000억달러로 지난해 상반기(920억달러)보다 1461% 급증했다. 같은 기간 3560억달러에서 2조1000억달러로 489% 늘어난 비트코인을 압도했다. 대니얼 폴로츠키 코인플립 창업자는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이 달성할 수 없는 응용 사례를 꾸준히 만들어내고 있다”고 했다.
“막연한 급등 기대는 곤란”
이론적으로 보면 공급 감소는 가격 상승의 원동력이 된다. 다만 하드포크는 오래전부터 알려진 재료인 만큼 가격에 ‘선반영’된 측면이 있다. 이더리움을 비롯한 대다수 암호화폐 가격은 ‘대장주’ 비트코인의 움직임뿐 아니라 금리, 유동성 등 거시경제 지표와 맞물린 고차방정식이라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비트코인은 공급량이 최대 2100만 개로 묶여 있지만 이더리움은 그런 상한 없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구조이기도 하다.일련의 하드포크와 별개로 이더리움은 ‘이더리움 2.0’으로 대변신을 앞두고 있다. 가장 큰 변화는 작업증명(PoW) 방식을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PoW는 비트코인처럼 고성능 컴퓨터를 돌려 채굴하는 것인데, 전기 낭비를 부채질한다는 비판이 많았다. PoS는 암호화폐 보유량이 많을수록 큰 보상을 얻는 방식으로 환경에 덜 해롭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