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소상공인에 세금·사회보험료 납부유예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洪 부총리, 경제 중대본 회의
코로나로 인한 매출 타격 감안
지방세·부가세도 유예대상 포함
채무 만기 연장은 내달까지 검토
일부 "재정건전성 악영향" 우려
코로나로 인한 매출 타격 감안
지방세·부가세도 유예대상 포함
채무 만기 연장은 내달까지 검토
일부 "재정건전성 악영향" 우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이 소상공인과 영세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조세 및 사회보험료 납부 유예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확산 및 방역 강화로 완만한 회복세에 있던 소상공인 매출이 대면서비스 업종 등을 중심으로 다시 타격받는 양상”이라며 관련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등 사회보험료와 조세 납부 유예 관련 내용을 조기 검토해 이달 내에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는 소규모 사업장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7~9월분 사회보험료와 전기·도시가스 요금 납부 유예를 시행하고 있다. 홍 부총리가 추가 조치를 예고하면서 납부 유예 기간은 연말까지 연장되고, 대상에는 지방세, 부가가치세 등이 추가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납부유예 조치가 올해 재정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재부가 예상한 올해 추가 세수 31조5000억원은 지난달 확정된 2차 추가경정예산안에 모두 담겼기 때문이다. 납부유예 조치로 발생하는 세수 감소분을 메우기 위해 국채 발행 등이 필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6월에 세수 추계를 계산하면서 최소 한 차례의 코로나19 대유행과 그에 따른 세수 감소 및 지출을 감안했다”며 “이번 조치 때문에 올해 균형 재정을 달성 못 할 이유는 없다”고 설명했다.
9월 말 종료될 예정이던 소상공인 등에 대한 금융권 채무 만기 연장 및 이자 상황 유예 조치도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 홍 부총리는 “제도 연장 여부를 다음달까지 검토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희소금속 산업 발전대책 2.0’도 논의됐다. 반도체와 배터리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리튬 등 주요 희소금속 19종의 비축일수를 평균 100일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희소금속 관련 100대 핵심 기업을 선정해 금융 및 세제, 규제 관련 지원을 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보 보안 역량이 취약한 중소기업에 데이터 백업과 백신 관련 솔루션을 내년부터 지원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해킹·랜섬웨어 공격이 고도화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한편 홍 부총리는 이날 비상경제 중대본 이후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지근 거리에서 보좌하던 비서관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데 따른 것이다. 홍 부총리 역시 코로나19 관련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한 결과 음성판정을 받았다.
홍 부총리의 주요 일정에 동행하던 관계자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자가격리 대상은 기재부 주요 간부는 물론 타부처 관계자까지 넓어질 수 있다. 델타 변이의 높은 전파력을 감안할 때 정부 핵심 관계자 중 코로나19 추가 확진자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노경목/김소현 기자 autonomy@hankyung.com
홍 부총리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확산 및 방역 강화로 완만한 회복세에 있던 소상공인 매출이 대면서비스 업종 등을 중심으로 다시 타격받는 양상”이라며 관련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등 사회보험료와 조세 납부 유예 관련 내용을 조기 검토해 이달 내에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는 소규모 사업장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7~9월분 사회보험료와 전기·도시가스 요금 납부 유예를 시행하고 있다. 홍 부총리가 추가 조치를 예고하면서 납부 유예 기간은 연말까지 연장되고, 대상에는 지방세, 부가가치세 등이 추가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납부유예 조치가 올해 재정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재부가 예상한 올해 추가 세수 31조5000억원은 지난달 확정된 2차 추가경정예산안에 모두 담겼기 때문이다. 납부유예 조치로 발생하는 세수 감소분을 메우기 위해 국채 발행 등이 필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6월에 세수 추계를 계산하면서 최소 한 차례의 코로나19 대유행과 그에 따른 세수 감소 및 지출을 감안했다”며 “이번 조치 때문에 올해 균형 재정을 달성 못 할 이유는 없다”고 설명했다.
9월 말 종료될 예정이던 소상공인 등에 대한 금융권 채무 만기 연장 및 이자 상황 유예 조치도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 홍 부총리는 “제도 연장 여부를 다음달까지 검토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희소금속 산업 발전대책 2.0’도 논의됐다. 반도체와 배터리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리튬 등 주요 희소금속 19종의 비축일수를 평균 100일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희소금속 관련 100대 핵심 기업을 선정해 금융 및 세제, 규제 관련 지원을 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보 보안 역량이 취약한 중소기업에 데이터 백업과 백신 관련 솔루션을 내년부터 지원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해킹·랜섬웨어 공격이 고도화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한편 홍 부총리는 이날 비상경제 중대본 이후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지근 거리에서 보좌하던 비서관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데 따른 것이다. 홍 부총리 역시 코로나19 관련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한 결과 음성판정을 받았다.
홍 부총리의 주요 일정에 동행하던 관계자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자가격리 대상은 기재부 주요 간부는 물론 타부처 관계자까지 넓어질 수 있다. 델타 변이의 높은 전파력을 감안할 때 정부 핵심 관계자 중 코로나19 추가 확진자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노경목/김소현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