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동으로 나온 로티·로리…롯데월드, 공간을 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편집자주] 4차 산업혁명으로 전 산업이 빠르게 변하면서 기업의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이 한층 중요해졌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18년부터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동반성장을 위한 ‘콘텐츠 오픈이노베이션 지원사업’인 '콘피니티'를 진행하고 있다.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협업, 궁극적으로 콘텐츠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올해 사업에 참여한 △CJ ENM △롯데컬처웍스 △롯데월드 △메가박스·한국무역협회에 콘텐츠 스타트업과 상생에 나선 배경과 전망을 들었다
![사진=롯데월드 SNS 캡쳐](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01.27157265.1.jpg)
롯데월드는 스타트업 아자스쿨, 플레이더월드, 필라멘트앤코와 협업한다. 롯데월드는 그동안
오프라인 방문객을 중심으로 교감하던 롯데월드의 영역을 사업장 밖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소비자에게 친근한 로티·로리 등 캐릭터 IP(지식재산권)의 리브랜딩을 바탕으로 외부 팝업스토어 개점, SNS(사회관계망서비스) 콘텐츠 개발, 어린이 체험 교육용 서비스를 시범운영하기로 한 것.
![자료=한국콘텐츠진흥원](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01.27160145.1.jpg)
![사진=롯데월드](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01.27157227.1.jpg)
![사진=롯데월드](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01.27157229.1.jpg)
![사진=롯데월드](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01.27157228.1.jpg)
아울러 기존 롯데월드 테마파크의 핵심 역량인 캐릭터 IP를 바탕으로 인지도를 확보하고, 교육, 게임, 공연 등 영유아 시장 전반에서 원소스멀티유즈(OSMU·One Source Multi Use) 전략으로 사업화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오프라인 측면에서는 올 하반기 동부산 오시리아 관광단지에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을, 2023년 베트남 하노이 아쿠아리움 개관 등 국내외 사업 확장 계획을 전했다.
롯데월드 관계자는 "다양한 기업들과 차세대 테마파크의 미래성장동력원을 개척하고 협업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롯데월드라는 강력한 온·오프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스타트업과 상생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는 협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