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는 파업투표·GM은 쟁대위…車업계 임단협 '난항 예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아·GM 노조, 10일 임단협 일정 재개
르노삼성도 이번주 협상 재개 예정
실적 악화·반도체 공급난에 '난항' 우려
르노삼성도 이번주 협상 재개 예정
실적 악화·반도체 공급난에 '난항' 우려
![기아 노조가 10일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ZN.27064777.1.jpg)
10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조는 이날 노조원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한다. 지난달 중앙노동위원회로부터 '쟁의 조정 중지 결정'을 받은 기아 노조는 찬반투표가 가결되면 언제든 파업이 가능해진다.
기아 노조는 지난 6월17일 상견례로 시작한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 △전년도 영업이익의 30% 성과급 제공 △월 9만9000원(호봉승급분 제외) 기본급 인상 △노동시간 주 35시간 단축 △정년 연장(최대 만 65세) 등을 요구한 상태다.
노조는 찬반투표 하루 전인 9일 소식지를 통해 "11차례 걸친 교섭을 진행했지만 사측은 1개의 제시안도 내놓지 않았다"며 "압도적 찬성으로 사측의 불성실한 교섭 태도를 바로잡자"며 긴장을 고조시켰다.
![인천시 부평구 한국GM 부평공장 출입구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ZA.25282866.1.jpg)
그러나 26~27일 찬반투표에서 51.15%가 반대표를 던지며 부결됐다. △월 9만9000원(호봉승급분 제외) 기본급 인상 △일시금 1000만원 이상 등을 요구했던 노조는 이날 쟁대위에서 파업과 특근 거부 등 쟁의행위 돌입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국내 완성차 업체 중 유일하게 지난해 임단협을 마치지 못한 르노삼성차도 이번 주 교섭을 재개한다. 지난해 7월 2020년 임단협을 시작한 르노삼성 노조는 △월 7만1687원(호봉승급분 제외) 기본급 인상 △격려금 700만원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2020·2021년 임단협 통합 교섭 △기본급 동결 △일시금 800만원 지급 등을 제안했지만, 기본급이 최대 쟁점으로 부상하며 갈등을 겪는 상황이다. 르노삼성 노조는 기본급 인상을, 사측은 기본급 동결을 고수한다.
![현대차·기아·한국GM 노조 등 금속노조 산하 완성차 3사 노조 대표들이 지난 3월 여의도 국회 앞에서 정년연장 입법화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강은구기자 egkang@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AA.26871337.1.jpg)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2021년 상반기 자동차 신규 등록 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내수 판매량은 모두 감소했다. 기아는 0.8% 줄어드는데 그치며 선방했지만 한국GM은 12.5%, 르노삼성은 49.0% 급감했다. 한국GM과 르노삼성의 경우 국내 시장 점유율이 3%대로 추락했고 벤츠·BMW 등 수입차에게도 판매량을 추월당한 상태다.
![국내 완성차 5사의 상반기 내수 판매량은 전년 대비 6.2% 감소했다. 사진=한국자동차산업협회](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01.27185644.1.jpg)
완성차 업계에선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파업까지 벌어질까 전전긍긍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7월 국내 완성차 5개사의 글로벌 판매량은 전년 대비 0.1% 감소했다. 세계 판매량이 감소한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라며 "각 사가 이미 생산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노조가 파업 카드를 꺼낼까 우려된다"고 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