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포스트 코로나 '정신건강' 연구 본격화…민관 협의체 구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복지부, '대전환기 혁신적 정신건강 연구개발사업' 제1차 회의 개최
연간 1천억원 투자…정신건강분야 연구개발 예산 확대 목표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의 정신 건강 문제 해결과 전 주기에 걸친 국민 정신건강 연구를 위해 정부와 민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보건복지부는 12일 관계 부처 및 업계 관계자, 정신과·심리학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대전환기 혁신적 정신건강 연구개발사업 총괄기획위원회'(이하 총괄위원회)를 구성해 이날 첫 회의를 열고 정신 건강 연구개발(R&D)의 사업기획 및 투자방향 등을 논의했다.
대전환기 혁신적 정신건강 연구개발사업은 지난 1월 발표된 '온 국민 마음건강 종합대책'(제2차 정신건강복지기본계획)의 일부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정신 건강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향후 정신건강 분야 유망 기술을 발굴하기 위한 것이다.
그간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자살률 최고를 기록하는 등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됐지만, 실제 관련 사업에는 연간 50억원의 소규모 투자만 이뤄졌다.
이는 올해 보건의료 전체 예산의 0.79% 수준이다.
반면 미국이나 영국, 호주 등 정신 건강 분야 선도국은 코로나19 유행 전부터 전체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의 6∼10%를 정신건강 분야에 투자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향후 10년 안에 연간 1천억원 규모의 예산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중 정신건강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을 10%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날 제1차 회의에서는 정신과 전문의와 뇌과학·정보통신 융합기술·심리학 전문가, 관련 산업체 및 관계 부처가 참여해 향후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염민섭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코로나 우울 등 정신건강 문제가 심화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해외 주요국과 같이 우리도 정신건강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늦지 않게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간 1천억원 투자…정신건강분야 연구개발 예산 확대 목표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의 정신 건강 문제 해결과 전 주기에 걸친 국민 정신건강 연구를 위해 정부와 민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보건복지부는 12일 관계 부처 및 업계 관계자, 정신과·심리학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대전환기 혁신적 정신건강 연구개발사업 총괄기획위원회'(이하 총괄위원회)를 구성해 이날 첫 회의를 열고 정신 건강 연구개발(R&D)의 사업기획 및 투자방향 등을 논의했다.
대전환기 혁신적 정신건강 연구개발사업은 지난 1월 발표된 '온 국민 마음건강 종합대책'(제2차 정신건강복지기본계획)의 일부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정신 건강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향후 정신건강 분야 유망 기술을 발굴하기 위한 것이다.
그간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자살률 최고를 기록하는 등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됐지만, 실제 관련 사업에는 연간 50억원의 소규모 투자만 이뤄졌다.
이는 올해 보건의료 전체 예산의 0.79% 수준이다.
반면 미국이나 영국, 호주 등 정신 건강 분야 선도국은 코로나19 유행 전부터 전체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의 6∼10%를 정신건강 분야에 투자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향후 10년 안에 연간 1천억원 규모의 예산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중 정신건강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을 10%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날 제1차 회의에서는 정신과 전문의와 뇌과학·정보통신 융합기술·심리학 전문가, 관련 산업체 및 관계 부처가 참여해 향후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염민섭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코로나 우울 등 정신건강 문제가 심화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해외 주요국과 같이 우리도 정신건강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늦지 않게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