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접종 기회 확대한 것"…전문가들 "근거 없이 조정하면 신뢰 훼손 우려"
정부가 아스트라제네카(AZ)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연령을 지난달 '30세 이상'에서 '50세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다가 13일 잔여백신에 한해 다시 '30세 이상'으로 재조정한 것을 두고 안전성과 정책 신뢰도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4차 대유행이 거센 상황에서 잔여백신 폐기를 최소화하고 접종 기회를 확대해 접종에 속도를 내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했으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추가 연구 결과 등 과학적인 근거가 없이 잔여백신에 대해서만 연령제한을 조정한 것이 의아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3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은 30∼40대에 대해서도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 접종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할 수 있는 연령에 대해 '50대 이상 접종'을 권고한다는 의견을 유지하면서도 잔여백신의 경우 희망자에 한해서는 30∼40대도 맞을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정은경 추진단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에 대해 "4차 유행으로 감염에 대한 위험이 더 높아진 상황에서 본인이 희망할 경우 이런 이상반응에 대한 확률, 위험성 부분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고 접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희망자에게 접종 기회를 열어둔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정 단장은 재차 "30∼40대에게 아스트라제네카를 의무적으로 맞으라고 제안한 바 없고 본인의 선택 하에 더 일찍 맞을 분에게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라며 "개인의 희망 하에 잔여백신을 접종할 수 있게 기준을 변경한 것이고 범위를 설정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단장은 이어 "다른 나라, 호주 같은 경우도 델타 변이로 방역상황이 변경됨에 따라 접종 권고연령을 18세로 낮춰 희망자가 접종할 수 있게끔 하면서 접종 속도를 높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접종 속도를 끌어올리려다 백신 안전성과 관련해 정부가 쌓아 놓은 신뢰를 스스로 깎아내리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앞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 발생 문제로 접종 연령을 50세 이상으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현재 국내에서 약 1천269만건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진행된 가운데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 환자는 3명이 발생했다.

이런 상황에서 접종 가능 연령을 30세 이상으로 다시 낮춘 것은 안전성 논란을 다시 부를 수 있다는 우려를 낳을 수 있다.

물론 정부는 잔여백신에 한해 희망자에게만 접종 기회를 부여할 계획이지만, TTS 발생 문제를 고려해 불허했던 연령층에게 새로운 과학적 근거 없이 다시 접종 기회를 주겠다는 것은 정책 신뢰도를 깎아내릴 수 있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문제를 제기한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안전성 문제에 대해 "TTS 발생 위험성에 대해서는 '증가한다'고 할 수 있겠지만 (30∼40대에게) 백신 접종을 못 할 정도로 위험성이 크냐는 것은 다른 것이므로 일반화해 이야기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오히려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 연령기준을 변경한 것이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최 교수는 "연구 결과가 새로 나와서 '30세 이상'으로 재조정한 것이 아니라 잔여백신이 남으니까, 일부 의료기관은 폐기 처분까지 한다고 하니까 이를 해결한다고 접종 연령을 하향 조정한 것은 정부가 접종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스스로 떨어뜨리는 격"이라고 지적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역시 "아스트라제네카와 관련한 혈전증 등 부작용 위험과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결정한 게 아니고 주먹구구식"이라며 "델타형 변이가 기승을 부리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남으니까 국민 스스로 결정해 맞으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아스트라제네카를 개발한 옥스퍼드대 그룹이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TTS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게 50대이고 30∼40대, 60대에서도 TTS가 다 나타난다"고 전했다.

이어 "접종 가능 연령을 60세 이상으로 올리지 않은 것만도 위험하다고 생각을 하는데, 뒤늦게 50대로 올리고 나서는 각자 위험 부담을 안고 판단하라는 것은 문제다.

30대가 맞아도 된다는 것은 근거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관련한 지침을 수 차례 변경하면서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 잔여백신 연령기준 변경의 경우 애초 30세 이상→50세 이상→30세 이상으로 되돌아온 '도돌이표' 지침이다.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기준이 왔다 갔다하면 혼란이 있을 수 있고 오늘 발표한 지침이 내일 바뀔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현장에선)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30대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선택의 문제'라고 정부가 선을 그은 점을 두고도 뒷말이 없지 않다.

이상반응이 있더라도 백신을 맞도록 당국이 국민 개인에게 책임을 넘긴 게 아니냐는 것이다.

정 단장은 이와 관련해 "위험이나 이득에 대해 충분히 정보를 제공하고 희망자가 접종하는 것을 막지 않겠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개인에게 떠넘겼다'고 지적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정 단장은 30∼40대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 접종 희망자 규모와 관련해서는 "어느 정도가 접종을 희망할지 추정하기는 어렵다"고 언급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