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말 시장을 지배했던 친환경 모빌리티 관련 주식에 다시 돈이 몰리고 있다. 각국 정부가 코로나19로 반사이익을 본 플랫폼 기업에 대한 반독점 규제를 시작했거나 준비하고 있다. 이런 국면에서 전 세계가 합심해 정책적으로 육성하는 산업에 투자를 집중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바닥을 찍으면서 실적이 뒷받침되는 성장주에 대한 옥석 가리기도 시작됐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 지원이 예상되고 실적도 뒷받침되는 친환경 모빌리티와 관련 생태계에 투자가 몰리는 배경이다.
돌고 돌아 다시 '친환경 모빌리티株의 시간'

친환경차 밸류체인 사들인 외국인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달 들어 지난 13일까지 국내 대표 반도체 주식인 삼성전자를 4조6309억원, SK하이닉스를 1조9930억원어치 팔아치웠다. 그런 와중에도 친환경 모빌리티, 2차전지, 2차전지 소재주는 꾸준히 사들였다. 삼성SDI, LG화학, 기아,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에코프로비엠, SK머티리얼즈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종목을 담고 있는 KODEX 2차전지산업 ETF는 이달 들어서만 7.39% 상승했다.

삼성SDI는 세계 4위 자동차 회사 스텔란티스와의 합작설이 나오면서 주가가 상승세에 올라탔다. 이달 들어서만 10.26% 올랐다. 로이터통신은 삼성SDI가 일리노이주 중부 노말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13일 보도했다. 미국 공장을 통해 피아트, 크라이슬러, 지프, 마세라티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스텔란티스와 ‘제2의 테슬라’라 불리는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에 배터리를 공급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수급 차원의 호재도 있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와 에코프로비엠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지수 편입이 확정되면서 투자가 몰렸다. MSCI 한국지수에 연동되는 글로벌 ETF, 인덱스펀드 등의 규모는 60조원에 이르는 만큼 지수에 편입되면 패시브 자금 유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회·문화·정책 변화 ‘3박자’

시장에서는 친환경 모빌리티 밸류체인이 지난 상반기 시장을 주도했던 플랫폼 기업을 대체하는 대장주가 될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폭염, 폭우 등 세계적인 이상 기후 현상으로 친환경 테마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30년까지 미국 신차의 절반을 친환경차로 출시하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유엔 산하 정부 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 6차 보고서 발표도 앞두고 있다. 지난 5차 보고서 발표 이후 파리 기후협약이 체결되는 등 파급력이 높은 만큼 관련 테마는 올해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다.

정명지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은 “친환경 정책 중에서 가장 효과가 즉각적이고 전방위적인 것은 결국 전기차 대중화”라며 “정부 정책과 소비자 인식 변화까지 맞물리면서 친환경 모빌리티는 시대적 트렌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가지 단점은 관련 종목의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다.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 2차전지 소재 대장주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50배가 넘는다. 하반기 금리 인상 가능성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밸류에이션이 걱정되는 투자자에게는 완성차 주식이 대안이 될 수 있다. 현대차와 기아의 12개월 선행 PER은 각각 9배, 7배에 불과하다. 정 팀장은 “보수적인 투자자는 완성차를,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2차전지와 관련 소재주를 섞어서 투자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전기차와 비교해 아직 산업 성장의 초입 국면에 있는 수소산업에 투자하면 더 큰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성한 신한자산운용 알파운용센터장은 “추후 공급량을 늘린 배터리업체의 경쟁이 치열해지면 소재업체의 마진을 쥐어짜게 되고, 이는 곧 소재업체의 수익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반면 아직 시장 진입 초입 국면에 있는 수소산업은 매출, 마진, 밸류에이션이 큰 폭으로 성장할 기회가 있다”고 분석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