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 마련·꼬마빌딩까지 매입
수입차·명품 등 구매도 잇따라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팀장은 “테크기업이 몰려 있는 경기 판교 지역 주택을 찾는 수요가 가장 많고, 그 외에는 서울 용산과 한남 등을 선호한다”며 “30~40대가 대부분이지만 20대도 종종 있다”고 말했다.
이미 내집 마련을 이룬 직원들은 ‘꼬마빌딩’ 등 월세 수익과 시세 차익을 동시에 거둘 수 있는 상업용 부동산에 주목했다. 김주환 원빌딩 대표는 “땅값 상승세가 가파르다 보니 아파트보다 시세 차익 기대가 높고, 대출이 잘 나오는 꼬마빌딩을 안정적 투자수단으로 찾는 30대 비중이 늘었다”고 말했다.
테크기업의 ‘영리치’가 늘어나자 이들의 자산 상담을 위해 판교 일대 금융권 프라이빗뱅킹(PB)센터들은 인력을 늘리고 있다. 이 지역엔 한국투자증권 KB증권을 비롯해 국민은행 하나은행 등 금융권 PB센터가 다섯 곳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과거에는 강남PB센터에서 분당권역도 함께 맡았지만, 분당에 부자가 늘어나면서 독립된 PB센터가 생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입차를 구매하거나 미술 작품을 구매하는 직원도 많았다. 판교 지역 한 수입차 딜러는 “이 일대 수입차 매장은 주말마다 시승과 상담 예약이 가득 차고, 인센티브로 수천만원을 받는 딜러가 나오고 있다”고 귀띔했다. 미술 경매시장에 수억원에서 수십억원대 미술품을 현금으로 사들이는 큰손으로 진입하기도 했다. 한 경매사 관계자는 “지난 경매에서 30대 젊은 부부가 처음으로 찾아와 15억원대 작품을 낙찰받았다”며 “부동산보다 세금 부담이 적고, 내 집에 걸어놓고 즐길 수 있어서 젊은 세대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명품시장에는 20~30대 남성을 위한 전문 명품매장이 늘고 있다. 유통업체들은 테크기업의 2030세대를 겨냥한 키덜트(키드+어덜트) 마케팅도 강화하고 있다. 판교 지역 피규어 매장으로 유명한 일렉트로마트점과 현대백화점 판교점의 ‘레고스토어 1호점’ 등은 테크기업 2030세대가 주 소비층으로 자리매김했다.
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