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기에도 계속 뛰는 서울 집값…"분양도 입주도 턱 없이 부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월 주택가격 0.6% 상승…1년 만에 최대폭 치솟아
본격적인 여름휴가가 시작되는 7월은 부동산 시장의 비수기로 분류된다. 주택 매매와 전세 가격 모두 상대적으로 안정된 흐름을 보이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올해는 예년과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지난달 서울 주택(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포함) 매매 가격이 0.60% 급등하며 1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갈아치웠다. 서울은 작년 6월부터 14개월 연속 오름세다. 이 같은 과열은 3기 신도시 등 공급 확대 정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지역의 공급 부족 우려가 여전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서울 집값은 작년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0.17%→0.26%→0.40%→0.51%로 4개월 연속 상승폭이 커졌다가 ‘2·4 대책’ 영향으로 3월 0.38%, 4월 0.35%로 두 달 연속 줄었다. 하지만 야당 소속인 오세훈 서울시장이 당선된 이후인 5월부터 다시 반등을 시작했다. 5월 0.40%, 6월 0.49% 상승한 데 이어 지난달에도 상승폭을 추가로 키웠다.
서울 외곽 등 저가 단지만 오른 게 아니다. 재건축 수요 등이 있는 강남권 고가 단지들도 골고루 가격이 오르고 있다. 25개 자치구 가운데 노원구(1.32%)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도봉구(1.02%), 강남·서초구(0.75%), 송파·강동구(0.68%), 동작구(0.63%), 영등포구(0.62%)가 뒤를 이었다.
전세 가격 역시 불안한 흐름을 이어갔다. 서울 주택 전세 가격은 0.49% 올라 전월(0.36%) 대비 2개월째 오름폭을 키웠다. 0.42%를 기록한 지난 2월 상승폭을 5개월 만에 다시 갈아치웠다.
전문가들은 현재 주택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데다 각종 규제로 ‘앞으로도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것’이란 심리적 불안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서울 재건축 단지에서 나온 일반분양 물량은 275가구에 그쳤다. 3월 광진구 자양동 ‘자양 하늘채 베르’(51가구)와 6월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224가구)가 전부였다. 작년 같은 기간(1830가구)에 비해 85% 급감한 규모다. 지금이라도 재건축 규제를 풀지 않으면 부동산 시장 불안이 2~3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만2032가구 규모의 강동구 ‘둔촌주공’(일반분양 4841가구)이 대표적이다. 당초 지난해 분양이 예정됐던 이 단지는 당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의 분양가 갈등으로 분양시기를 연기했다. 하지만 올해도 분양가 상한제 등 규제로 인해 조합원 간, 조합원과 시공사 간 갈등이 불거졌다. 분양업계에서는 연내 분양도 물 건너갔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이 외에도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15차(641가구) △방배동 방배6구역(1131가구) △장위10구역재개발(2004가구) 등 20개 단지의 2만3000여 가구가 공급 시기를 확정하지 못했다.
올 상반기 서울에서 착공한 아파트도 1만2300여 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5%, 5년 평균보다는 35.7% 쪼그라들었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과거에는 인허가 이후 곧 착공과 분양이 이뤄졌지만 최근에는 각종 규제로 시간이 더 걸리고 있다”며 “단지들이 실제 겪는 애로를 해결해 공급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유정/신연수 기자 yjlee@hankyung.com
지난달 서울 주택(아파트·단독·연립주택 포함) 매매 가격이 0.60% 급등하며 1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갈아치웠다. 서울은 작년 6월부터 14개월 연속 오름세다. 이 같은 과열은 3기 신도시 등 공급 확대 정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지역의 공급 부족 우려가 여전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서울 집값 14개월 연속 상승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종합 매매 가격은 0.60% 올라 전월(0.49%)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지난해 7월(0.71%) 후 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서울 집값은 작년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0.17%→0.26%→0.40%→0.51%로 4개월 연속 상승폭이 커졌다가 ‘2·4 대책’ 영향으로 3월 0.38%, 4월 0.35%로 두 달 연속 줄었다. 하지만 야당 소속인 오세훈 서울시장이 당선된 이후인 5월부터 다시 반등을 시작했다. 5월 0.40%, 6월 0.49% 상승한 데 이어 지난달에도 상승폭을 추가로 키웠다.
서울 외곽 등 저가 단지만 오른 게 아니다. 재건축 수요 등이 있는 강남권 고가 단지들도 골고루 가격이 오르고 있다. 25개 자치구 가운데 노원구(1.32%)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도봉구(1.02%), 강남·서초구(0.75%), 송파·강동구(0.68%), 동작구(0.63%), 영등포구(0.62%)가 뒤를 이었다.
전세 가격 역시 불안한 흐름을 이어갔다. 서울 주택 전세 가격은 0.49% 올라 전월(0.36%) 대비 2개월째 오름폭을 키웠다. 0.42%를 기록한 지난 2월 상승폭을 5개월 만에 다시 갈아치웠다.
전문가들은 현재 주택 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데다 각종 규제로 ‘앞으로도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것’이란 심리적 불안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서울 재건축 단지에서 나온 일반분양 물량은 275가구에 그쳤다. 3월 광진구 자양동 ‘자양 하늘채 베르’(51가구)와 6월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224가구)가 전부였다. 작년 같은 기간(1830가구)에 비해 85% 급감한 규모다. 지금이라도 재건축 규제를 풀지 않으면 부동산 시장 불안이 2~3년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둔촌주공 등 분양 시기 못 정해
문제는 이 같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분양가 규제로 일정이 지연되는 사업장이 잇따르고 있어서다. 분양물량 감소는 2년 후 입주물량 부족으로 이어진다. 매매가뿐 아니라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전세난도 심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1만2032가구 규모의 강동구 ‘둔촌주공’(일반분양 4841가구)이 대표적이다. 당초 지난해 분양이 예정됐던 이 단지는 당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의 분양가 갈등으로 분양시기를 연기했다. 하지만 올해도 분양가 상한제 등 규제로 인해 조합원 간, 조합원과 시공사 간 갈등이 불거졌다. 분양업계에서는 연내 분양도 물 건너갔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이 외에도 △서초구 반포동 신반포15차(641가구) △방배동 방배6구역(1131가구) △장위10구역재개발(2004가구) 등 20개 단지의 2만3000여 가구가 공급 시기를 확정하지 못했다.
올 상반기 서울에서 착공한 아파트도 1만2300여 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5%, 5년 평균보다는 35.7% 쪼그라들었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과거에는 인허가 이후 곧 착공과 분양이 이뤄졌지만 최근에는 각종 규제로 시간이 더 걸리고 있다”며 “단지들이 실제 겪는 애로를 해결해 공급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유정/신연수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