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만 검색해도 하이브 뜬다…'주린이 모시기' 나선 증권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쟁력 핵심은 '검색'

2021년에는 모바일트레이팅시스템(MTS)을 둘러싼 증권사 간 전쟁이 한창이다. 특히 '쉽고 편한 검색'이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작년 동학개미운동으로 주식시장에 진입한 '주린이(주식+어린이)'를 잡기 위해서다.
'쉬운 주식 투자'를 표방하는 토스증권의 강점은 검색 엔진에 있다. 정확한 종목명을 검색해야 매매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는 기존 MTS와는 달리 '비비고'만 검색해도 "비비고는 2개 회사에 관련이 있다"며 CJ제일제당, CJ씨푸드를 찾아준다. 'BTS'를 찾으면 '하이브'가 뜨고 최근 30일간 언론사 기사에서 하이브와 함께 언급된 종목도 제시한다. 토스증권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2200여개 상장사의 재무제표를 분석해 한국증권거래소의 분류(57개)보다 4배 많은 234개로 업종을 세분화했다"며 "사업보고서 등에 언급된 브랜드명도 일일이 입력해 데이터로 활용 중이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증권사들도 간편 앱을 따로 출시하면서 검색 기능을 강화하고 나섰다. 6월 KB증권은 새로운 MTS '바닐라'를 출시하면서 이스트소프트의 자회사인 줌인터넷과 합작했다. 국내 3위 검색포털 줌인터넷이 보유한 인공지능(AI) 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것이다. 신한금융투자도 MTS '신한알파'를 업그레이드하면서 앱 내 검색 기능 강화를 통해 원하는 메뉴·서비스를 빠르고 쉽게 찾아 이용할 수 있게 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주린이들의 투자 편의성을 높여주기 위한 장치지만 주문 착오 리스크도 공존하는 셈"이라며 "기존 HTS, MTS가 정확한 종목명을 검색했을 때만 해당 종목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한 건 다 이유가 있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증권사 간 MTS 간편앱 경쟁이 치열해지다 보니 연내 출시 예정인 카카오페이증권 앱에 대한 업계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카카오페이증권은 별도 MTS를 아직 내놓지도 않았지만 카카오톡 플랫폼을 무기로 계좌 개설자 수가 500만명을 돌파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