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협회 "세계 車시장 '회복중'…미래차 지원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요시장 상반기 판매량, 전년 대비 30.6% 증가
코로나 이전 2019년 대비로는 8.0% 감소
코로나 이전 2019년 대비로는 8.0% 감소

협회는 19일 '2021년 상반기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판매 및 정책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미국, 중국, 유럽, 인도 등 해외 주요시장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0.6% 증가한 2857만대로 집계됐다.
시장별 전년 대비 증가세는 인도 95.2%, 러시아 38.2%, 미국 29.3%, 중국 27.5%, 유럽 27.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도는 지난해 전국봉쇄에 따른 판매 급감 기저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미국은 백신 보급과 정부의 경기부양책 효과로 2019년 상반기 판매량에 근접했다. 중국 역시 신에너지차(NEV) 판매량 급증으로 2019년 판매량에 근접했지만, 유럽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봉쇄 강화로 판매 회복이 제한됐다.

유럽,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은 내연기관차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미래차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지원에도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은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중지와 승용차 이산화탄소(CO2) 배출기준 강화, 2023년부터 탄소국경세 도입 등을 추진 중이다. 미국은 2030년까지 신차의 절반을 전기차로 구성할 계획으로 공급망 투자에 세액 공제율을 확대하고 보조금 지급과 충전소 구축 등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 수요가 회복 추세에 있다"며 "우리 기업들의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서는 노동유연성 강화와 전기동력차 등 미래차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 미래차 R&D 투자와 관련 시설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와 데이터 수집·활용 규제완화 등 지원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