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네트웍스 노조 주장…사측 "근무환경 방역 강화해 운영"
"해외입국자 상대하는데 하청은 우선접종 제외"(종합)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자회사 직원들이 해외 입국자들을 상대하는 업무를 하고 있는데도 백신 우선접종 대상에서 제외됐다며 정부 당국과 코레일을 규탄했다.

철도노조 코레일네트웍스지부는 19일 서울 용산구 철도노조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외입국자 특별수송을 담당하는 코레일 자회사(코레일네트웍스)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우선접종 대상자에 즉각 포함시켜달라"고 요구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코레일네트웍스 리무진 운전노동자들은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해외입국자들을 광명역으로 수송하고 있다.

이들은 KTX공항리무진이 밀폐도가 높은 편이라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높은데도 백신을 우선 접종하지 못해 불안감에 떨고 있다고 호소했다.

노조가 공개한 수송일지를 보면 정원 27명인 공항리무진에 27개 좌석을 꽉 채워 운영한 적이 빈번했으며, 이달 14일엔 리무진 운전원 1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코레일이 자회사 노동자들을 배제한 채 백신 우선접종을 추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한국철도공사가 7월 21일 대전시에 공문을 보내 백신 우선접종 대상기관으로 지정해달라고 요청을 했으나 본사 바로 앞에 있는 대전역에서 매표를 전담하는 코레일네트웍스 역무원들은 제외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선접종 대상기관 신청 사유에 해외입국자 격리수송을 위한 KTX전용객실 운영, 열차 탑승객 발열체크 등의 내용을 담으면서 1천명이 넘는 사무직은 우선접종 대상에 포함시켰다"고 했다.

노조는 "코레일과 코레일네트웍스 관계자들은 노동자 안전을 내팽개쳤다"면서 이들에 대한 조사와 처벌도 요구했다.

노조 주장에 대해 코레일네트웍스는 "올해 3∼7월 만석 운행률은 4.3%이고 운전원의 안전을 위해 방역조치를 최상위로 강화해 운영하고 있다"며 "이번에 확진된 운전원 밀접접촉자들은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어 "집단사업장인 대전 철도고객센터 상담직원을 대상으로 대전광역시 지원을 통해 자율 우선접종 대상자에 포함해 순차적으로 접종을 진행 중"이라며 "직원들이 반드시 접종을 마칠 수 있도록 독려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