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만 기다립니다"…집회금지에 날벼락 맞은 곳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위차량 제조업체'도 불황에 신음

이 가운데 집회 등 각종 홍보용 차량을 제작하는 차량광고업체들도 남몰래 눈물을 흘리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집회뿐 아니라 대부분 행사가 비대면으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이들은 "문의 전화가 90% 정도 줄었다"고 입을 모았다.
복수의 업체에 따르면 견적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집회에서 자주 쓰이는 1t 트럭은 하루 렌트 비용이 150만~180만원 정도라고 한다. 5t이 넘는 대형 트럭은 250만~300만원 선이다. 전광판 부착, 차량 랩핑 등 옵션이 추가되면 견적에 따라 금액이 더 붙는다.
서울의 한 차량광고업체 사장 김모씨(38)는 "비용도 80만~100만원 짜리가 60~70만원 정도로 저렴하게 해주고 있다"며 "공장 임대료는 계속 나가고 있는데 수입이 없어 적자 운영 중"이라고 호소했다.
30년간 차량광고업체를 운영해온 A(58)씨 역시 올해 상반기 매출이 '역대급 최악'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한 보수단체 시위 차량을 전속으로 했지만 올해 2월 규제가 심해지자 계약이 끊겼다고 한다. A씨는 “정권 초중반기에는 매주 큰 집회가 열렸는데 이젠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며 "집회뿐 아니라 각종 행사, 오프라인 홍보 등도 함께 줄었다"고 전했다.
이 업체들이 기대하는 것은 내년 대통령 선거다. 한 업체 관계자는 “대통령 선거 시즌이 되면 다시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한다”며 “대선만 바라보면서 하루하루 버티고 있다”고 말했다.
이후 1년이 넘도록 집회 참여인원, 방식은 지속적인 규제를 받아왔다. 특히 지난해 광복절 집회에서는 650여 명의 관련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큰 비판을 받기도 했다. 최근 서울 내에서는 대규모 집회를 찾아보기 어려워 졌고 신고 건수 자체도 다소 누그러들었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서울시내 집회 신고 건수는 2019년 3만6551건에 이었던 것에 비해 지난해 3만4944건으로 줄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