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도 20% 줄이고, 이자 30% 더 내야 대출연장…영끌·빚투족 '패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용대출도 죄기 본격화
은행, 1.1억 대출 만기연장 때
한도 9천만원…금리 0.8%P 추가
2금융권도 신용대출 본격 규제
중·저신용자 '대출 절벽' 현실화
한은 기준금리 인상 더해지면
이자폭탄에 자산급락 '이중고'
은행, 1.1억 대출 만기연장 때
한도 9천만원…금리 0.8%P 추가
2금융권도 신용대출 본격 규제
중·저신용자 '대출 절벽' 현실화
한은 기준금리 인상 더해지면
이자폭탄에 자산급락 '이중고'


“한도 줄이고, 금리 올려야 연장 가능”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은행들은 최근 마이너스통장 계약이 끝나는 고객에게 한도는 20%가량 줄이고, 이자는 30%가량 높이겠다는 요구를 하고 있다. 연소득 8000만원인 40대 직장인 A씨는 전세계약 만료를 앞두고 본인 소유의 집으로 들어가기 위해 4000만원이 필요해졌다. 은행에 마이너스통장 한도 상향을 요청했지만, 예상 밖의 답변이 돌아왔다. 은행은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1억1000만원에서 9000만원으로 줄이고, 금리를 연 2.5%에서 연 3.3%로 높여야 연장이 가능하다고 했다. A씨는 어쩔 수 없이 신용카드사에서 5000만원 규모의 연 7.5%짜리 신용대출(카드론)을 받아 이 중 1000만원을 은행 대출을 갚는 데 썼다. A씨의 대출액 1억원 기준 월 이자 부담은 월 20만8000원에서 31만원으로 1.5배 증가했다.앞으로 A씨 같은 사례가 속출할 전망이다. 은행 관계자는 “전산 개발 등이 완료되는 대로 마이너스 통장 한도를 연소득으로 제한해달라는 당국 요구를 시행할 것”이라며 “소급 적용은 하지 않기로 했지만, 매년 연장하는 마이너스 통장 계약 특성상 당분간 소비자들은 조건이 나빠졌다고 느낄 수밖에 없다”고 했다.
다중채무자 ‘비상’
금융당국은 ‘가계부채를 무슨 수를 써서라도 잡겠다’는 의지다. 금리상승과 자산가격 하락이 맞물리고, 대출자산이 부실화되는 최악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다. 당국이 은행에 이어 저축은행에도 대출 한도를 죄라고 요구한 것은 저축은행의 다중 채무자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올 1분기 전체 금융권의 전체 대출 중 다중 채무자 잔액 비중은 31.8%인 데 비해 저축은행의 다중 채무자 대출 잔액 비중은 73.2%에 달했다. 코로나19 사태로 급여소득자에 비해 신용점수가 낮은 자영업자들이 직격탄을 맞은 영향이라는 분석이다.이자 폭탄에 자산가격 변동성 예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기존 대출자의 이자부담은 더욱 늘고 자산가격은 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영끌’ ‘빚투’에 나섰던 고신용자, 주식과 암호화폐 구매에 뛰어들었던 ‘2030세대’도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20~30대는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은행에 259조원의 빚을 지고 있다. 1년 전보다 20%(44조원) 증가한 규모로 이는 같은 기간 은행권 전체의 가계대출 증가율(10%)의 두 배에 달한다. 금융연구원은 최근 금융브리프 보고서를 통해 “2020년 고신용자 대출이 2017~2019년 연평균 증가율 11.2%를 넘어선 21.2%를 기록했다”며 “이들이 금리 상승의 여파도 더 크게 받을 수 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박창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소득 증가 속도를 넘어서는 가계부채 증가는 금융시스템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며 “부채 쇼크가 현실화한다면 소득과 신용도에 상관없이 모든 경제주체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김대훈/박진우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