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조금 대신 탄소배출권 지급하면 어떨까 [김태선의 탄소배출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더 머니이스트
2050 탄소중립에 경제주체들 적극 참여해야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대 보급 목표
탄소배출권 시장참여자 확대 및 유동성 개선
감축정책과 시장 연계방안 적극 모색해야
2050 탄소중립에 경제주체들 적극 참여해야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대 보급 목표
탄소배출권 시장참여자 확대 및 유동성 개선
감축정책과 시장 연계방안 적극 모색해야

특히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에서는 2018년 기준 6억8630만t인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050년까지 96.3∼100.0% 감축하기 위한 3개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철강업종의 경우 기존 고로를 전기로로 전환을, 석유화학 및 정유업의 경우 전기가열로 도입, 바이오매스 보일러 교체 등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제시했습니다.
지난해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10대 대표과제이자 그린뉴딜 8대 추진과제 중 하나인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확대방안에 따르면 보급사업의 경우 △전기차 보급 △수소차 보급 △노후 경유차 친환경 전환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총 20조3000억원가량을 투자해 약 15만1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며, 2025년까지 전기자동차(승용, 버스, 화물차)는 누적 113만대를 보급하고 충전 기반시설은 누적 4만5000기를 확충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단순 보조금지원 수준을 떠나 탄소배출권 시장-메커니즘과 연계될 경우 그에 따른 파급효과는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5년 1월12일 개장한 탄소배출권 시장은 7년차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참여자의 제한으로 시장-메커니즘 기능을 상실한 상태입니다.
전기차 보조금을 탄소배출권으로 대신 지급할 경우, 시장참여자의 확대 및 시장 유동성 공급증대를 기대할 수 있고 동시에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 대중화도 독려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정부 보조금 1500만원(차량 값 5000만원)을 구입시점의 배출권 가격으로 환산하여 탄소배출권을 지급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현재 배출권 가격이 톤당 2만5000원이면 탄소배출권 600톤을 전기차 구매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차량 구입자는 600톤을 즉시 현금화하여 구입대금을 결제하던지 아니면 차량 값 5000만원을 구입자가 전액 납부하고 600톤을 보유한 후 탄소배출권 시황에 따라 자유롭게 매도하는 방안입니다.
<한경닷컴 The Moneyist> 김태선 NAMU EnR 대표이사 | Carbon Market Analyst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