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쪽 접종자' 1만명 확진인데…정부 "70% 되면 '위드 코로나'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확진자 10%가 불완전 접종자
정부 '위드 코로나' 기준 논란
정은경 "9월말 논의 시작될 것"
의료계 "예방률 반쪽…너무 일러
조만간 방역 완화 오해 줄 수도"
백신 인센티브 자충수 가능성
전파력 2.5배 델타 급속 확산
신규확진자 10명중 9명 달해
25일 닷새 만에 2000명 넘을 듯
정부 '위드 코로나' 기준 논란
정은경 "9월말 논의 시작될 것"
의료계 "예방률 반쪽…너무 일러
조만간 방역 완화 오해 줄 수도"
백신 인센티브 자충수 가능성
전파력 2.5배 델타 급속 확산
신규확진자 10명중 9명 달해
25일 닷새 만에 2000명 넘을 듯
정부가 ‘접종 완료율 70%’를 기점으로 시행하기로 한 ‘위드(with) 코로나’ 전략에 대해 “방역 누수를 부를 수 있다”는 비판이 의료계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코로나19 델타 변이로 인해 전 국민의 70%가 백신 접종을 완료해도 집단면역이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를 방역 체계 전환의 기준으로 삼았다는 이유에서다. 정부의 위드 코로나 계획 발표가 “조만간 방역이 완화될 것”이란 메시지로 해석돼 자칫 국민에게 또 다른 ‘희망고문’을 안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백신 접종률을 끌어올려도 코로나19가 재확산한 미국, 영국, 이스라엘 사례를 감안할 때 방역 완화는 그때그때 상황을 반영해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들은 ‘접종 완료자’(백신을 두 차례 맞고 14일 이상 지난 사람)보다 코로나19 예방률이 크게 떨어진다. 1차만 접종했을 때 델타 변이 예방률은 △아스트라제네카(AZ) 60%대 △화이자 30~50%대 △모더나 70%대다. 2차까지 맞아야 예방률이 80%대 후반~90%대로 올라선다.
문제는 방역당국이 ‘접종 완료율 70%’를 기점으로 위드 코로나를 추진하겠다고 한 점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23일 위드 코로나 전환 시점을 묻는 질문에 “전 국민 70% 이상이 예방접종을 완료한 시점부터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계에선 감염재생산지수(확진자 1명이 감염시키는 사람 수)가 2일 때를 가정하고 만든 목표인 ‘접종률 70%=집단면역’을 기점으로 위드 코로나를 추진하는 게 무리라는 지적이 나온다. 델타 변이의 감염재생산지수는 최소 5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델타 변이의 전파력을 감안하면 전 국민이 백신 접종을 해야만 집단면역에 도달할 수 있다”고 했다.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 체계는 어떤 기준에 도달했다고 단번에 바꿔선 안 되고 점진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했다.
의료계 비판이 잇따르자 방역당국은 ‘속도 조절’에 나섰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이날 “델타 변이로 인해 좀 더 높은 접종률이 필요해진 상황”이라며 “‘전 국민 70% 1차 접종’ 기준은 절대적인 목표가 아니라 중간에 달성해야 할 단계적 과정”이라고 했다.
당국은 백신 접종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추석 이후에 예약했거나 아직 예약하지 않은 18∼49세에 대한 접종 일정을 9월 초·중순으로 앞당길 수 있도록 했다. 모더나 측이 9월 5일까지 백신 701만 회분을 제공하겠다고 하면서 백신 수급에 숨통이 트였기 때문이다. 이번 백신 추가 도입으로 2주간 200만 명 이상이 추가로 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당국은 예상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이번주부터 적용된 ‘백신 인센티브’(백신 접종 완료자는 사적 모임 허용 인원에서 제외)가 코로나19 확산의 새로운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델타 변이의 전파력이 센 점을 감안하면 ‘관리 대상에서 빠진’ 돌파감염자들이 새로운 전파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오후 9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937명으로 전날 같은 시간대보다 593명 늘어났다. 휴일을 맞아 검사 건수가 줄어들면서 확진자도 감소하는 ‘주말 효과’가 사라진 영향이다. 집계가 마감되는 밤 12시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24일 확진자는 2000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하루 2000명대 확진자는 지난 19일(2052명) 이후 닷새 만이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백신 맞고도 감염된 사람만 1만여 명
24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4월 1일부터 8월 14일까지 발생한 신규 확진자 10만5255명 중 10%(1만372명)가 ‘불완전 접종자’였다. 불완전 접종자란 코로나19 백신을 한 번만 맞았거나 2차까지 접종했지만 14일의 항체 형성 기간이 지나지 않은 사람을 말한다.이들은 ‘접종 완료자’(백신을 두 차례 맞고 14일 이상 지난 사람)보다 코로나19 예방률이 크게 떨어진다. 1차만 접종했을 때 델타 변이 예방률은 △아스트라제네카(AZ) 60%대 △화이자 30~50%대 △모더나 70%대다. 2차까지 맞아야 예방률이 80%대 후반~90%대로 올라선다.
문제는 방역당국이 ‘접종 완료율 70%’를 기점으로 위드 코로나를 추진하겠다고 한 점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23일 위드 코로나 전환 시점을 묻는 질문에 “전 국민 70% 이상이 예방접종을 완료한 시점부터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계에선 감염재생산지수(확진자 1명이 감염시키는 사람 수)가 2일 때를 가정하고 만든 목표인 ‘접종률 70%=집단면역’을 기점으로 위드 코로나를 추진하는 게 무리라는 지적이 나온다. 델타 변이의 감염재생산지수는 최소 5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델타 변이의 전파력을 감안하면 전 국민이 백신 접종을 해야만 집단면역에 도달할 수 있다”고 했다.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 체계는 어떤 기준에 도달했다고 단번에 바꿔선 안 되고 점진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했다.
“‘9말10초’ 검토도 빨라”
검토 시점조차 빠르다는 우려도 있다. 정 청장은 “전 국민의 70%가 1차 접종하는 9월 말~10월 초부터 위드 코로나 방역 체계의 준비 및 검토 작업이 공개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1차 접종이 접종 완료보다 예방률이 떨어지는 ‘반쪽짜리 접종’인 만큼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10월 초 접종 완료율이 50%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위드 코로나 전환을 검토하기엔 부담이 생길 것”이라며 “람다 변이가 유행하거나 아예 새로운 변이가 출현할 수 있다는 변수도 있다”고 했다.의료계 비판이 잇따르자 방역당국은 ‘속도 조절’에 나섰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이날 “델타 변이로 인해 좀 더 높은 접종률이 필요해진 상황”이라며 “‘전 국민 70% 1차 접종’ 기준은 절대적인 목표가 아니라 중간에 달성해야 할 단계적 과정”이라고 했다.
당국은 백신 접종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추석 이후에 예약했거나 아직 예약하지 않은 18∼49세에 대한 접종 일정을 9월 초·중순으로 앞당길 수 있도록 했다. 모더나 측이 9월 5일까지 백신 701만 회분을 제공하겠다고 하면서 백신 수급에 숨통이 트였기 때문이다. 이번 백신 추가 도입으로 2주간 200만 명 이상이 추가로 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당국은 예상하고 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 양 300배 많아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2.5배 강한 델타 변이 점유율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이달 15~21일 델타 변이 검출률은 89.6%를 기록했다. 직전 주(85.3%)보다 4.3%포인트 상승했다. 김은진 방대본 검사분석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델타 변이는 기존 바이러스보다 발병 당일 300배가량 많은 바이러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관찰됐다”고 말했다.이런 점을 감안할 때 이번주부터 적용된 ‘백신 인센티브’(백신 접종 완료자는 사적 모임 허용 인원에서 제외)가 코로나19 확산의 새로운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델타 변이의 전파력이 센 점을 감안하면 ‘관리 대상에서 빠진’ 돌파감염자들이 새로운 전파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오후 9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937명으로 전날 같은 시간대보다 593명 늘어났다. 휴일을 맞아 검사 건수가 줄어들면서 확진자도 감소하는 ‘주말 효과’가 사라진 영향이다. 집계가 마감되는 밤 12시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24일 확진자는 2000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하루 2000명대 확진자는 지난 19일(2052명) 이후 닷새 만이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