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중국→미국 서학개미 10년 '머니무브'
2010년대 초까지만 해도 해외 주식 투자는 초고액 자산가들의 전유물이었다. 프라이빗뱅커(PB)를 통해 정보를 얻어 알음알음 투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투자자들이 해외로 눈을 돌린 것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증시의 지지부진한 흐름, ‘박스피(박스권+코스피지수)’가 계기가 됐다. 2014년 개인이 중국에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도 투자자들을 자극했다. 개인도 홍콩거래소를 통해 중국 본토 A주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한 후강퉁 제도가 이때 시행됐다. 돈이 몰렸다. 2015년 6월 12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최고치(5178.18)를 찍었다. 1년 반 만에 150% 올랐다. 박스권에 지친 개인투자자들은 중국 주식으로 눈을 돌렸다.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가 홍콩과 중국 주식에 투자한 잔액은 2014년 16억5769만달러로, 처음으로 일본 주식을 넘어 1위를 차지했다. ‘중학개미’들의 시대였다.

하지만 2016년 상하이종합지수는 반토막이 났다. 투자자들은 변동성은 작고 성장성이 큰 시장을 찾기 시작했다. 미국이었다. 2017년부터 미국 주식 투자 잔액(42억2341만달러)이 홍콩과 중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코로나19의 확산은 또 한번의 계기가 됐다. 망할 일 없는 미국 주식에 돈이 몰렸다. 2030세대는 꿈을 담은 주식을 사들였다. 정명지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은 “2030세대는 전기차 대장 테슬라, 플랫폼 대장 FANG(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 주식 등 익숙하면서도 매력적인 기업의 주주가 됐다”고 설명했다.

최근 테슬라 주식을 줄기차게 팔았던 ‘서학개미’들이 다시 전기차 대표주자의 꿈에 베팅하면서 해외 주식 순매수 1위에 복귀했다.

고재연/서형교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