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그린 뉴딜' 경쟁…한국도 2050년 탄소중립 달성 속도
세계 주요 국가들의 그린 뉴딜 정책이 뜨겁다. 작년 말 발표된 유럽의 그린 딜을 시작으로 중국, 한국, 일본도 탄소배출 제로(0)를 향한 여정에 참여하기로 했다. 현재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절반이 전력과 열 관련 설비에서 발생하고 있다. 발전 원료의 절반은 석탄과 가스로 이뤄져 있다.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 발맞춰 한국 정부도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을 액화천연가스(LNG)로 대체하고, 미세먼지특별저감대책을 통해 탄소배출량 감축을 유도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2050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 천연가스 발전원을 수소에너지원으로 대체하는 작업을 강하게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2019년 ‘수소경제로드맵 1.0’을 통해 2040년까지 수소차 620만 대, 발전용 연료전지 15GW를 확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소는 자동차용이 101만t, 발전용이 424만t, 산업용이 355만t이다. 필요량을 확보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다음달 발표될 ‘수소로드맵 2.0’에서 이 목표치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포스코의 고로를 모두 수소환원제철로 전환해도 기업 한 곳에서만 370만t의 수소가 필요하다. 이 외에도 수소발전의무화제도(HPS)가 신설돼 수소 연료전지 시장을 별도로 떼어 다루기로 했다. 탄소에서 수소에너지원으로의 에너지 전환이 더 급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로의 에너지전환을 위해서는 정부 정책 아래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하다. 수익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민간 기업의 참여가 부진할 수밖에 없고, 국내에서 육성하지 않는 산업에서 해외 수출이 활발히 이뤄질 가능성도 낮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수소 판매가격은 ㎏당 8300원이다. 중동산 LNG를 도입한다는 가정 아래 천연가스 가격을 ㎏당 7000원을 적용해도 수송, 액화비를 감안하면 그레이수소(탄소에너지원을 개질해 제조한 수소)로도 수익성을 확보하기 쉽지 않다. 그러므로 국내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킬로그램당 2000원 이하가 확보되는 해외 지역의 그린수소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저렴한 블루수소 제조를 위해 저렴한 가스를 수입할 수 있도록 계약방식 변경, 도입처 다변화도 요구된다. 국내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높아 경제성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해외 태양광 발전 단가가 낮은 중동, 미국, 호주를 거점으로 생산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 에너지기업들의 해외 재생에너지 설비 투자 확대를 기대하는 이유다.

가스공사는 국내 최대 가스 도매 사업자로 가스 도입, 판매와 해외 자원개발 사업을 해왔다. 국내 도매사업은 요금 규제를 받고 있지만 에너지안보와 가스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물가 상승률 수준의 이익률을 보장받으며 꾸준히 성장해왔다. 가스공사는 미래 성장력 확보 차원에서 이라크 유전(주바이르, 바드라), 호주 석탄가스화(GLNG)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해 신성장 동력을 키웠다.

이젠 정부의 2050 탄소중립 목표와 발맞춘 강도 높은 사업영역 전환이 필요하다. 가스공사는 2040년까지 수소 확보를 위해 총 4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 중 국내 자산은 추출설비 5000억원, 배관 3000억원, 액화 2500억원, 수입설비 1조3000억원 등으로 구성되며 해외 37조원은 모두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에 투자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