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를 순방 중인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왼쪽)이 25일 베트남 하노이 대통령궁에서 보티아인쑤언 베트남국가부주석을 만나 손을 흔들어 보이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은 이날 베트남에 화이자 백신 100만 회분을 무상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백신 외교를 의식한 중국은 전날 베트남과 기습 회담을 하고 200만 회분의 백신을 기부하겠다고 약속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캐나다·맥시코와 중국에 각각 25%와 1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자 미국의 노동계와 산업계에서도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미국 철강노조(USW)는 이날 낸 성명을 통해 “캐나다와 같은 주요 동맹국을 공격하는 것은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 아니다”고 밝혔다.이어 "매년 약 1조3000억달러 상당의 제품이 캐나다, 미국 국경을 지나 140만개의 미국 일자리와 230만개의 캐나다 일자리를 지원한다"며 "관세는 캐나다에만 피해를 주는 게 아니라 국경 양쪽의 산업 안정성을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 노조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캐나다 관세에 대한 정책을 바꿔 장기적으로 노동자 가족들에게 도움이 되는 무역 해법에 집중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산업계에서도 관세 정책 철회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미국 석유화학업계 단체(AFPM)는 "우리는 북미 이웃 국가들과 신속히 해결책을 마련해 소비자들이 그 영향을 느끼기 전에 원유, 정제 및 석유화학 제품이 관세 일정에서 제외되길 바란다"는 내용의 성명을 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대형 소매업체들을 대변하는 단체인 미국소매협회(NRF)의 데이비드 프렌치 정부 관계 담당 선임부회장은 백악관이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다른 수단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보편관세가 존재하는 한 미국인은 일상소비재에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하도록 강요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식품산업단체인 소비자브랜드협회(CBA)의 톰 매드레키 부사장도 미국에서 구할 수 없는 원자재에도 관세가 매겨져 소비자 가격을 높이고 미국 수출업체
영국의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빈이 2일(현지시간) 유아 발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왕실 공무를 재개했다. 그는 작년 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를 받은 뒤 제한적인 공식 활동만 해왔다.로이터·AFP 통신과 BBC 등에 따르면 케이트 왕세자빈은 자신이 설립한 왕립재단 유아센터의 보고서 서문을 통해 유아기의 조기 발달 중요성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그는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평생의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모든 것의 핵심은 일련의 사회적·정서적 기술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에 있다"며 "더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서로에게 연민과 공감을 갖고 행동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케이트 왕세자빈은 "가끔은 세상이 불신과 오해로 가득 차 있어 많은 사람이 고립되고 취약하다고 느낀다"라며 "이로 인한 정신 건강 악화와 중독, 남용 등의 영향은 개인과 사회에 파괴적일 수 있다"고도 했다.케이트 왕세자빈은 작년 초 복부 수술 후 검사에서 암이 발견돼 화학 항암 치료를 받았고, 같은해 9월 항암치료를 마쳤다고 발표했다. 이후 제한적으로만 공식 활동을 해왔다. 작년 크리스마스에 캐럴 예배 행사를 주최한 바 있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일본과 대만 정부가 공무원 및 공공 부문에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인공지능(AI) 모델 이용 금지 조치를 내렸다. 이탈리아는 아예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다운로드를 차단했다. 딥시크가 ‘가성비 AI’로 부각되며 미국 월가와 실리콘밸리를 발칵 뒤집어놨지만 개인정보 유출과 보안을 이유로 접속 차단에 나서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2일 일본 공영 방송 NHK에 따르면 다이라 마사아키 디지털상은 딥시크와 관련해 “개인정보가 제대로 보호되는지 확신할 수 없다”며 “우려가 불식되기 전까지는 공무원이 사용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고 말했다.집권 자민당 소속인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무조사회장도 지난달 31일 중의원(하원)에서 “딥시크 AI가 센카쿠열도를 중국 땅으로 표현한다”며 “딥시크 다운로드를 중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신뢰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고 이용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센카쿠열도는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곳으로,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지만 중국은 ‘댜오위다오’라고 부르며 분쟁화를 시도한다.대만 정부도 딥시크 규제에 나섰다. 대만 중앙통신(CNA)에 따르면 대만 디지털부는 지난 1일 공공 부문 직원에게 딥시크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 대만 중앙·지방정부 부처·기관과 공립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 직원 등이 적용 대상이다. 이 밖에 중요 인프라 프로젝트와 정부 소유 재단에서 일하는 사람에게도 금지 조치가 적용된다. 대만 디지털부는 “딥시크는 중국의 정보통신기술 제품이자 서비스로,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