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제2 이동통신 두 번 포기…불이익만 받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당시 체신부 전담반장 석호익 씨 인터뷰
26일 故 최종현 회장 23주기
사돈이었던 노태우 정부때
압도적 점수로 제2 이통 따냈지만
특혜시비에 휘말려 반납
선정작업 주도한 석호익 씨
"선경, 모든 조건이 월등"
26일 故 최종현 회장 23주기
사돈이었던 노태우 정부때
압도적 점수로 제2 이통 따냈지만
특혜시비에 휘말려 반납
선정작업 주도한 석호익 씨
"선경, 모든 조건이 월등"
“1992년 이동통신사업자 선정은 어떤 외압도 없이 떳떳하게 진행됐습니다.”
당시 체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2이동통신 사업자 선정 전담반장을 맡았던 석호익 전 KT 부회장(사진)은 “당시 수십 명의 공무원과 석·박사 연구원 및 회계사들이 양심에 조금도 부끄럽지 않게 선정작업을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26일은 SK그룹의 주력 사업인 통신과 바이오의 토대를 닦은 최종현 선대 회장의 23주기다. 최태원 SK 회장의 부친인 최종현 회장은 생전 이동통신사업 ‘특혜 시비’에 시달렸다. 노태우 전 대통령과 사돈이라는 특수관계가 사업권을 따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다. 석 전 부회장은 2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를 반박했다. SK가 정당하게 얻은 사업권을 반강제로 포기하는 등 ‘특혜’가 아니라 되레 ‘불이익’을 받았다는 설명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특혜 시비가 회자되는 이유는 뭘까. SK(당시 선경)가 1992년 노태우 정부 때 제2이동통신사업자로 선정됐다가 1주일 만에 사업권을 자진 반납한 과정에서 오해가 시작됐다는 것이 석 전 부회장의 설명이다. 1990년 7월 체신부는 통신사업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한국통신(현 KT) 자회사인 한국이동통신 외 제2이동통신 사업자를 선정해 경쟁체제를 도입하기 위해서였다. 1992년 4월 사업공고를 냈고 선경과 포항제철 코오롱 동양 쌍용 동부 등 6개 기업이 참여했다.
그는 “당시 어느 기업이 뽑혀도 특혜 논란이 불거질 여지가 있었다”며 “의혹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심사기준을 꼼꼼히 마련하는 등 매일매일이 긴장의 연속이었다”고 회상했다.
여론은 심상치 않게 돌아갔다. 정치권에서 “선경은 노 대통령의 사돈 집안”이라며 특혜 의혹을 제기한 것이 결정타였다. 정부의 부인에도 여론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았다. 최 회장은 선정 다음날인 8월 21일 기자회견을 열어 “사돈인 노 대통령에게 선정 과정에서 신세 진 적이 전혀 없다”고 밝혔지만 허사였다. 당시 김영삼 대선후보와 독대까지 거친 최 회장은 결단을 내려야만 했다. 선정 1주일 만인 8월 27일 손길승 대한텔레콤 사장은 사업권을 자진 반납한다고 발표했다. 석 전 부회장은 “당시 청문회가 두 차례 열렸지만 문제삼을 것은 하나도 찾아내지 못했다”며 “조금이라도 외압 흔적이 있었다면 전담반장인 나부터 처벌받았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제2이동통신 사업자 선정 절차는 1993년 말 다시 시작됐다. 김영삼 정부는 특혜 시비 차단을 위해 전국경제인연합회에 선정 절차를 위임했다. 공교롭게도 최 회장이 전경련을 이끌고 있었다. 그는 고심 끝에 참여를 포기했다. 대신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는 한국이동통신(현 SK텔레콤) 민영화에 참여하겠다고 발표했다. 1994년 1월 선경은 한국이동통신 지분 23%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선경의 이동통신 사업자 선정을 반대했던 김영삼 후보가 대통령이 된 후 공개입찰을 통해 경영권을 인수함으로써 특혜 시비를 불식시킨 것이다.
대신 막대한 대가를 치러야 했다. 1993년 12월 민영화 방침이 나왔을 때만 해도 주당 8만원이던 주가는 한 달 만에 네 배 넘게 급등했다. SK는 인수액으로 주당 33만5000원, 4271억원을 써내야 했다.
석 전 부회장은 이후에도 청와대 근무 시절 최 회장과 몇 차례 마주친 적이 있다고 했다. 그는 “최 회장은 당시 사업권을 자진 반납한 것에 대해 눈물을 흘리며 몹시 가슴 아파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최 회장은 세계 일류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대규모 투자를 통해서 통신사업을 키워야 한다는 생각을 사석에서 내내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당시 체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2이동통신 사업자 선정 전담반장을 맡았던 석호익 전 KT 부회장(사진)은 “당시 수십 명의 공무원과 석·박사 연구원 및 회계사들이 양심에 조금도 부끄럽지 않게 선정작업을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26일은 SK그룹의 주력 사업인 통신과 바이오의 토대를 닦은 최종현 선대 회장의 23주기다. 최태원 SK 회장의 부친인 최종현 회장은 생전 이동통신사업 ‘특혜 시비’에 시달렸다. 노태우 전 대통령과 사돈이라는 특수관계가 사업권을 따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다. 석 전 부회장은 25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를 반박했다. SK가 정당하게 얻은 사업권을 반강제로 포기하는 등 ‘특혜’가 아니라 되레 ‘불이익’을 받았다는 설명이다.
김영삼 정부 때 사업 진출
SK가 통신 사업에 진출한 것은 김영삼 정부 시절인 1994년 1월이다. 당시 김영삼 대통령은 여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됐지만 노 전 대통령과는 팽팽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던 상황이었다. 더욱이 SK는 정부로부터 사업권을 획득한 것이 아니다. 정부가 1994년 제1이동통신사인 한국이동통신을 매물로 내놨고, SK는 경쟁입찰에 참여해 경영권을 확보했다.그럼에도 지금까지 특혜 시비가 회자되는 이유는 뭘까. SK(당시 선경)가 1992년 노태우 정부 때 제2이동통신사업자로 선정됐다가 1주일 만에 사업권을 자진 반납한 과정에서 오해가 시작됐다는 것이 석 전 부회장의 설명이다. 1990년 7월 체신부는 통신사업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한국통신(현 KT) 자회사인 한국이동통신 외 제2이동통신 사업자를 선정해 경쟁체제를 도입하기 위해서였다. 1992년 4월 사업공고를 냈고 선경과 포항제철 코오롱 동양 쌍용 동부 등 6개 기업이 참여했다.
그는 “당시 어느 기업이 뽑혀도 특혜 논란이 불거질 여지가 있었다”며 “의혹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심사기준을 꼼꼼히 마련하는 등 매일매일이 긴장의 연속이었다”고 회상했다.
“조금의 외압도 없었다”
선경이 주축이 된 대한텔레콤 컨소시엄은 1992년 8월 20일 압도적인 점수 차로 최종 사업자에 선정됐다. 석 전 부회장은 “선경은 다른 기업이 따라올 수 없을 만큼 모든 조건이 월등했다”고 말했다.여론은 심상치 않게 돌아갔다. 정치권에서 “선경은 노 대통령의 사돈 집안”이라며 특혜 의혹을 제기한 것이 결정타였다. 정부의 부인에도 여론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았다. 최 회장은 선정 다음날인 8월 21일 기자회견을 열어 “사돈인 노 대통령에게 선정 과정에서 신세 진 적이 전혀 없다”고 밝혔지만 허사였다. 당시 김영삼 대선후보와 독대까지 거친 최 회장은 결단을 내려야만 했다. 선정 1주일 만인 8월 27일 손길승 대한텔레콤 사장은 사업권을 자진 반납한다고 발표했다. 석 전 부회장은 “당시 청문회가 두 차례 열렸지만 문제삼을 것은 하나도 찾아내지 못했다”며 “조금이라도 외압 흔적이 있었다면 전담반장인 나부터 처벌받았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제2이동통신 사업자 선정 절차는 1993년 말 다시 시작됐다. 김영삼 정부는 특혜 시비 차단을 위해 전국경제인연합회에 선정 절차를 위임했다. 공교롭게도 최 회장이 전경련을 이끌고 있었다. 그는 고심 끝에 참여를 포기했다. 대신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는 한국이동통신(현 SK텔레콤) 민영화에 참여하겠다고 발표했다. 1994년 1월 선경은 한국이동통신 지분 23%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선경의 이동통신 사업자 선정을 반대했던 김영삼 후보가 대통령이 된 후 공개입찰을 통해 경영권을 인수함으로써 특혜 시비를 불식시킨 것이다.
대신 막대한 대가를 치러야 했다. 1993년 12월 민영화 방침이 나왔을 때만 해도 주당 8만원이던 주가는 한 달 만에 네 배 넘게 급등했다. SK는 인수액으로 주당 33만5000원, 4271억원을 써내야 했다.
석 전 부회장은 이후에도 청와대 근무 시절 최 회장과 몇 차례 마주친 적이 있다고 했다. 그는 “최 회장은 당시 사업권을 자진 반납한 것에 대해 눈물을 흘리며 몹시 가슴 아파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최 회장은 세계 일류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대규모 투자를 통해서 통신사업을 키워야 한다는 생각을 사석에서 내내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