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출생아 사상 첫 20만명대…합계출산율 '역대 최저' 0.84명(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출생아 수 19년만에 반토막…합계출산율 세종 최고, 서울 최저
여성 평균 출산연령 33.1세…40대 초반 출산율 0.1명 늘어 지난해 출생아 수가 사상 처음으로 20만명대까지 내려앉았다.
합계출산율은 역대 최저이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꼴찌인 0.84명을 기록했다.
정부가 저출산 대응을 위해 15년간 200조원에 육박하는 예산을 들였으나 큰 효과는 없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출생아 수, 2001년 56만명→2020년 27만명…합계출산율 OECD 꼴찌
25일 통계청의 '2020년 출생 통계(확정)'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7만2천3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300명(10.0%) 감소했다.
연간 출생아 수가 20만명대로 떨어진 것은 사상 처음이다.
2001년 55만9천900명을 기록했던 출생아 수가 19년만에 '반 토막' 난 것이다.
1970년 100만명대였던 연간 출생아 수는 2001년 50만명대로 줄었고, 이후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5년간 40만명대였다.
이후 2017년 처음 30만명대로 내려앉은 뒤 불과 3년 만인 지난해 20만명대까지 추락했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粗)출생률은 지난해 5.3명으로 전년 대비 0.6명 감소했다.
이 역시 역대 최저치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인 0.84명이었다.
전년보다 0.08명 감소한 수치다.
합계출산율은 2018년(0.98명), 2019년(0.92명)에 이어 3년 연속으로 1명 미만을 기록했다.
1명 미만의 합계출산율은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로, OECD 38개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나라는 한국뿐이다.
시도별로는 세종(1.28명), 전남(1.15명), 강원(1.04명) 순으로 합계출산율이 높고 서울(0.64명), 부산(0.75명), 대전(0.81명) 순으로 낮았다.
시군구 단위로 보면 전남 영광이 2.46명으로 합계출산율 최고를 기록했다.
전국 시군구 중 합계출산율이 2명을 넘어선 곳은 영광이 유일하다.
영광에 이어 전남 장흥(1.77명), 전북 임실(1.75명), 전남 해남(1.67명) 순으로 합계출산율이 높았다.
낮은 지역은 부산 중구(0.45명), 서울 관악(0.47명), 대구 서구(0.50명) 등이었다.
국회 예산정책처의 '저출산 대응 사업 분석·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2006∼2021년 저출산 대응을 위해 모두 198조7천억원의 예산을 썼다.
그러나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은 계속 내려가 막대한 예산 투입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 엄마 평균 출산연령 33.1세…출생성비 104.8명
모(母)의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은 30대 초반(30∼34세)이 78.9명으로 가장 높다.
이어 30대 후반(35∼39세)이 42.3명, 20대 후반(25∼29세)이 30.6명, 40대 초반(40∼44세)이 7.1명, 20대 초반(20∼24세)이 6.2명이다.
2019년과 비교하면 연령별 출산율은 40대 초반만 0.1명 늘었고 나머지 연령대는 모두 감소했다.
여성 평균 출산연령은 33.1세로, 1년 전보다 0.1세 상승했다.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은 33.8%로 전년보다 0.5%포인트 늘었다.
출생아 부(父)의 평균 연령은 35.8세로 1년 전보다 0.1세 상승했다.
여아 100명당 남아 수를 뜻하는 출생성비는 104.8명으로 전년보다 0.7명 감소했다.
첫째아는 104.8명, 둘째아는 104.7명, 셋째아 이상은 106.6명이다.
통계청은 출생성비 정상범위가 103명∼107명이라고 설명했다. ◇ 혼인 외 출생아 7천명…전체 출생아 중 5%는 쌍둥이
첫째아 출산시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2.3년, 둘째아는 4.8년, 셋째아 이상은 7.4년이었다.
결혼 후 2년 이내에 낳는 출생아 비중은 33.9%로 전년보다 0.3%포인트 줄었다.
혼인 중 출생아는 97.5%(26만5천300명), 혼인 외 출생아는 2.5%(6천900명)였다.
혼인 중 출생아 비중이 0.2%포인트 줄어들었고 그만큼 혼인 외 출생아 비중이 늘었다.
전체 출생아 중 다태아 비중은 4.9%(1만3천300명)로 0.3%포인트 증가했다.
쌍둥이가 1만2천900명, 세쌍둥이 이상이 300명이다.
조산아(37주 미만 출생아)가 총 출생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5%로 0.3%포인트 증가했다.
/연합뉴스
여성 평균 출산연령 33.1세…40대 초반 출산율 0.1명 늘어 지난해 출생아 수가 사상 처음으로 20만명대까지 내려앉았다.
합계출산율은 역대 최저이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꼴찌인 0.84명을 기록했다.
정부가 저출산 대응을 위해 15년간 200조원에 육박하는 예산을 들였으나 큰 효과는 없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출생아 수, 2001년 56만명→2020년 27만명…합계출산율 OECD 꼴찌
25일 통계청의 '2020년 출생 통계(확정)'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7만2천3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300명(10.0%) 감소했다.
연간 출생아 수가 20만명대로 떨어진 것은 사상 처음이다.
2001년 55만9천900명을 기록했던 출생아 수가 19년만에 '반 토막' 난 것이다.
1970년 100만명대였던 연간 출생아 수는 2001년 50만명대로 줄었고, 이후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5년간 40만명대였다.
이후 2017년 처음 30만명대로 내려앉은 뒤 불과 3년 만인 지난해 20만명대까지 추락했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粗)출생률은 지난해 5.3명으로 전년 대비 0.6명 감소했다.
이 역시 역대 최저치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인 0.84명이었다.
전년보다 0.08명 감소한 수치다.
합계출산율은 2018년(0.98명), 2019년(0.92명)에 이어 3년 연속으로 1명 미만을 기록했다.
1명 미만의 합계출산율은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로, OECD 38개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나라는 한국뿐이다.
시도별로는 세종(1.28명), 전남(1.15명), 강원(1.04명) 순으로 합계출산율이 높고 서울(0.64명), 부산(0.75명), 대전(0.81명) 순으로 낮았다.
시군구 단위로 보면 전남 영광이 2.46명으로 합계출산율 최고를 기록했다.
전국 시군구 중 합계출산율이 2명을 넘어선 곳은 영광이 유일하다.
영광에 이어 전남 장흥(1.77명), 전북 임실(1.75명), 전남 해남(1.67명) 순으로 합계출산율이 높았다.
낮은 지역은 부산 중구(0.45명), 서울 관악(0.47명), 대구 서구(0.50명) 등이었다.
국회 예산정책처의 '저출산 대응 사업 분석·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2006∼2021년 저출산 대응을 위해 모두 198조7천억원의 예산을 썼다.
그러나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은 계속 내려가 막대한 예산 투입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 엄마 평균 출산연령 33.1세…출생성비 104.8명
모(母)의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은 30대 초반(30∼34세)이 78.9명으로 가장 높다.
이어 30대 후반(35∼39세)이 42.3명, 20대 후반(25∼29세)이 30.6명, 40대 초반(40∼44세)이 7.1명, 20대 초반(20∼24세)이 6.2명이다.
2019년과 비교하면 연령별 출산율은 40대 초반만 0.1명 늘었고 나머지 연령대는 모두 감소했다.
여성 평균 출산연령은 33.1세로, 1년 전보다 0.1세 상승했다.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은 33.8%로 전년보다 0.5%포인트 늘었다.
출생아 부(父)의 평균 연령은 35.8세로 1년 전보다 0.1세 상승했다.
여아 100명당 남아 수를 뜻하는 출생성비는 104.8명으로 전년보다 0.7명 감소했다.
첫째아는 104.8명, 둘째아는 104.7명, 셋째아 이상은 106.6명이다.
통계청은 출생성비 정상범위가 103명∼107명이라고 설명했다. ◇ 혼인 외 출생아 7천명…전체 출생아 중 5%는 쌍둥이
첫째아 출산시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2.3년, 둘째아는 4.8년, 셋째아 이상은 7.4년이었다.
결혼 후 2년 이내에 낳는 출생아 비중은 33.9%로 전년보다 0.3%포인트 줄었다.
혼인 중 출생아는 97.5%(26만5천300명), 혼인 외 출생아는 2.5%(6천900명)였다.
혼인 중 출생아 비중이 0.2%포인트 줄어들었고 그만큼 혼인 외 출생아 비중이 늘었다.
전체 출생아 중 다태아 비중은 4.9%(1만3천300명)로 0.3%포인트 증가했다.
쌍둥이가 1만2천900명, 세쌍둥이 이상이 300명이다.
조산아(37주 미만 출생아)가 총 출생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5%로 0.3%포인트 증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