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게 유생 밀도와 해양환경 변화 등 분석 결과
인천 해역 꽃게 생산량 3천200∼4천500t 예상
국립수산과학원은 우리나라 꽃게 주요 생산지인 서해 인천해역 올해 가을 어기 꽃게 생산량이 3천200∼4천500t 정도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생산량 3천774t의 85∼119%, 최근 5년간 평균 생산량 3천489t과 비교하면 92∼129% 수준이다.

꽃게 생산량 전망은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수산자원 예측 방식을 이용해 산출했다.

올해 봄 어기 어획량, 올해 초 자원량, 서해 저층 수온과 인천 연안 수온, 지난해 꽃게 유생 밀도와 어린 꽃게 방류량, 강수량 등 다양한 변수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라고 수산과학원은 전했다.

꽃게 생산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난해 꽃게 유생 밀도와 당시 해양환경 변화 등이다.

지난해 꽃게 유생이 성장해 올해 가을 성체가 되기 때문이다.

인천 해역 꽃게 생산량 3천200∼4천500t 예상
올해 인천해역 가을 어기 꽃게 어황에 미치는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2020년 꽃게 유생 평균 밀도는 약 1만1천 개체/1천㎥다.

2018년 평균 밀도(5천976개체/1천㎥)와 비교하면 1.8배, 2019년 평균 밀도(4천614개체/1천㎥)와 비교하면 2.4배로 늘어났다.

지난해 동물플랑크톤 평균 밀도도 약 990㎎/㎥로 2019년 평균 밀도와 비교하면 3배 이상 증가했다.

동물플랑크톤 양이 많이 증가한 것은 지난해 여름 긴 장마로 인천지역 강수량이 증가해 영양염이 육지에서 바다로 흘러 들어가 동물플랑크톤의 먹이가 되는 식물플랑크톤이 잘 생육했기 때문이라고 수산과학원은 설명했다.

이 밖에 꽃게 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지자체에서 방류하는 어린 꽃게(몸길이 1㎝ 안팎)도 늘어나 꽃게 어황 전망에 일부 영향을 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