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고점론'에도…"최고 재테크 수단은 부동산" 48%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모든 수단 동원해 집 마련" 39%
"집 사는 것 포기했다" 20%
해외주식·국내주식에도 관심
"집 사는 것 포기했다" 20%
해외주식·국내주식에도 관심
집값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직장인들은 최고의 재테크 수단으로 ‘부동산’을 꼽았다. 정부가 연일 ‘집값 고점론’을 펴고 있지만 경제 현장을 뛰는 직장인은 여전히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보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른 유망 투자 수단으로는 해외주식과 국내주식이 꼽혔다.
설문조사에 응한 직장인 1200명 중 48.4%는 가장 유망한 투자 수단으로 부동산을 꼽았다. 지난해 ‘동·서학개미운동’으로 관심이 급증한 해외주식(22.5%)과 국내주식(20.1%)이 뒤를 이었다. 적금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3.2%에 불과했다. 최근 저금리 기조와 자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적금의 수익이 상대적으로 급락한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암호화폐를 꼽은 응답자도 5.8%에 그쳤다.
정부가 각종 부동산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직장인의 ‘부동산 불패 신화’에 대한 믿음은 강고했다. 무주택자라고 답한 직장인 569명 중 39.2%는 가능한 수단을 모두 활용해 최대한 빨리 집을 마련하겠다고 응답했다. 아예 주택 구입을 포기했다는 응답도 19.9%에 달했다. 집값이 하락할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는 응답은 34.3%였다. 집을 살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은 6.7%였다.
직장인들의 위험 선호 경향도 두드러졌다. 월급 중 투자에 쓰는 비율은 ‘10% 이상 30% 미만’(36.3%)이 가장 많았고, ‘30% 이상 50% 미만’이라고 답한 비율도 19.2%에 달했다. 50% 이상 투자한다는 응답은 12.8%였다. 10% 미만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0.4%에 불과했다.
나이가 어릴수록 공격적인 투자자 비율이 높았다. 50대 이상 응답자 중 월급에서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50% 이상이라는 응답은 7.6%에 불과했지만, 2030세대 중에서는 이 비율이 19%에 달했다. 자산 가격 상승에 불안함을 느낀 젊은 층이 내 집 마련을 위해 공격적인 투자 행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월급 내 투자 비중이 10% 미만이라는 응답 비율은 2030세대(27.5%)와 50대 이상(30.8%)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투자에 쓸 여윳돈이나 시간, 지식 등이 부족한 직장인도 적지 않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설문조사에 응한 직장인 1200명 중 48.4%는 가장 유망한 투자 수단으로 부동산을 꼽았다. 지난해 ‘동·서학개미운동’으로 관심이 급증한 해외주식(22.5%)과 국내주식(20.1%)이 뒤를 이었다. 적금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3.2%에 불과했다. 최근 저금리 기조와 자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적금의 수익이 상대적으로 급락한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암호화폐를 꼽은 응답자도 5.8%에 그쳤다.
정부가 각종 부동산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직장인의 ‘부동산 불패 신화’에 대한 믿음은 강고했다. 무주택자라고 답한 직장인 569명 중 39.2%는 가능한 수단을 모두 활용해 최대한 빨리 집을 마련하겠다고 응답했다. 아예 주택 구입을 포기했다는 응답도 19.9%에 달했다. 집값이 하락할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는 응답은 34.3%였다. 집을 살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은 6.7%였다.
직장인들의 위험 선호 경향도 두드러졌다. 월급 중 투자에 쓰는 비율은 ‘10% 이상 30% 미만’(36.3%)이 가장 많았고, ‘30% 이상 50% 미만’이라고 답한 비율도 19.2%에 달했다. 50% 이상 투자한다는 응답은 12.8%였다. 10% 미만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0.4%에 불과했다.
나이가 어릴수록 공격적인 투자자 비율이 높았다. 50대 이상 응답자 중 월급에서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50% 이상이라는 응답은 7.6%에 불과했지만, 2030세대 중에서는 이 비율이 19%에 달했다. 자산 가격 상승에 불안함을 느낀 젊은 층이 내 집 마련을 위해 공격적인 투자 행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월급 내 투자 비중이 10% 미만이라는 응답 비율은 2030세대(27.5%)와 50대 이상(30.8%)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투자에 쓸 여윳돈이나 시간, 지식 등이 부족한 직장인도 적지 않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