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선택 방지에 윤석열·최재형 '찬성' vs 홍준표·유승민 '반대'
선관위도 공정성 논란 '시즌2'…공넘긴 이준석 "역선택 룰 최고위 논의안해"
野 경선룰 놓고 대권주자 양분…내홍 불씨 커진다
국민의힘 경선버스가 30일 후보 등록을 시작으로 출발하자마자 대권주자들이 경선 룰을 놓고 반으로 쪼개졌다.

경선 여론조사 대상에서 여권 지지층을 배제할지, 즉 '역선택 방지' 여부가 뇌관이다.

주자별 유불리에 따라 찬반으로 나뉘어 격돌하는 모양새다.

당 경선준비위원회의 중립성 논란으로 극심한 내홍을 겪은 국민의힘이 또다시 선관위의 경선 관리를 놓고도 같은 논란이 재연되며 소용돌이에 빠져들 조짐이다.

◇ 역선택 방지 따른 주자별 유불리 뚜렷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최재형 전 감사원장 캠프는 역선택 방지에 찬성 입장을, 홍준표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 캠프는 반대 입장을 각각 보인다.

경선에서 당락을 좌우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라는 게 지배적인 평가다.

30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발표한 '범 보수권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 결과를 보면, 윤 전 총장은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52.2%,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 4.2%의 선택을 받았다.

홍준표 의원이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18.3%, 민주당 지지층에서 26.4%의 선택을 받은 것과 정반대 양상이다.

윤 전 총장 입장에선 민주당 지지층을 뺀 조사가, 홍 의원 입장에선 이를 포함한 조사가 유리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비슷한 구조로 국민의힘 지지층에게 5.3%, 민주당 지지층에게 2.3%의 지지를 얻은 최 전 원장은 역선택 방지를 선호하고 있다.

유 전 의원은 반대로 국민의힘 지지층에게 7.8%, 민주당 지지층에게 18.4%의 지지를 얻었다.

지난 4·7 재보선 경선과 6·11 전당대회 때도 역선택 방지 여부를 둘러싸고 국민의힘 주자별 의견이 엇갈린 바 있다.

특히 나경원 전 의원은 서울시장 후보 경선 당시 역선택 방지 조항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전대 때는 역선택 방지가 도입됐으나 '이준석 돌풍'에 큰 의미를 갖지 못했다.

◇ "與 장난 막아야" vs "골목대장 뽑는 선거 아냐"
주자들은 그러나 유불리와 무관하다면서 저마다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운다.

윤 전 총장 캠프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최근 홍 의원의 지지율 상승은 민주당이 장난치는 것 아니냐"고 의심했다.

'장난'을 차단하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최 전 원장 측 관계자도 "역선택이 갈수록 기승을 부린다"며 "정권 교체를 하려면 민주당의 경선 조작 시도부터 막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두 사람은 홍 의원이 지난 2018년 6·13 지방선거 당시 "민주당과 정의당 지지층에게 우리 당 후보를 뽑는 투표권을 줄 수는 없다"고 한 발언을 끄집어내기도 했다.

이제와서 딴소리냐는 비판이다.

반면, 홍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호남을 소외시킬 수 있는 역선택 방지는 큰 역풍을 불러올 수 있다"며 "우리끼리 골목대장을 뽑는 선거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당원이 아닌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대선에서 이기려면 본선 경쟁력이 가장 중요하고, 그러려면 당내 경선부터 '개방 경선'으로 치러야 한다는 주장이다.

홍 의원은 다른 글에서 윤 전 총장의 적합도 조사와 비교하면서 "추석 전후로 골든크로스 갈 것"이라고 거듭 기대했다.

野 경선룰 놓고 대권주자 양분…내홍 불씨 커진다
◇ 공은 선관위에…정홍원 중립성 논란 비화
경선 룰을 둘러싼 주자 간 공방은 불가피하게 선관위의 공정성과 중립성 논란으로 흐르는 분위기다.

선관위원장을 맡은 정홍원 전 국무총리가 역선택 방지 조항을 두지 않기로 한 경준위 안을 뒤집으려 한다는 의혹이 확산하면서다.

정 전 총리가 윤 전 총장에게 유리하게 룰을 변경할 것이라는 의혹은 유 전 의원이 주도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유 전 의원 캠프는 이날 논평에서 "정 전 총리가 윤 전 총장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 전 총리가 지난 5일 윤 전 총장을 독대해 "비정상적인 나라를 윤 후보가 정상화하고 국민들의 고통을 덜어주기를 바란다"고 말한 일을 한 가지 근거로 삼았다.

이와 관련, 이준석 대표는 이날 기자들에게 "역선택 룰 등에 관해서는 최고위가 입장을 밝힐 계획도, 논의할 계획도 없다"고 선을 긋고, 공을 선관위로 넘겼다.

일단 선관위는 논란을 일축했다.

선관위 부위원장인 한기호 사무총장이 각 캠프 의견을 취합하고 있으며, 여론조사 전문가 의견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역선택 방지 여부를 확정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선관위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우리끼리만 모여 앉아 뚝딱뚝딱 정하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