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수소차 배터리, 3년·6만㎞ 무상수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홍남기 '빅3 추진회의' 주재
내년 빅3산업에 6.3조 예산 배정
1천억 바이오혁신 펀드 조성추진
내년 빅3산업에 6.3조 예산 배정
1천억 바이오혁신 펀드 조성추진
정부가 연내 전기·수소차 배터리 등의 무상수리 의무기간을 2년·4만㎞에서 3년·6만㎞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전기차 정비소와 수소차 검사소도 대폭 확충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를 열고 미래차 검사·정비 인프라 확충 및 전문인력 양성방안 등을 논의했다. 홍 부총리는 전기·수소차 배터리 무상수리 의무기간 연장계획을 밝혔다. 현재 현대자동차는 미래차 배터리 무상수리 기간으로 10년·20만㎞ 안팎, 테슬라는 8년·20만㎞ 안팎을 적용하고 있지만 일부 업체는 2년·4만㎞를 적용하고 있다.
홍 부총리는 또 “정비업 시설기준 완화와 검사장비 보급 등을 통해 2025년까지 전기차 정비소 3300개, 수소차 검사소 26개 이상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지난해 기준 전기차 전문 정비소는 전국 1100여 개로 전체 자동차 정비소의 3%를 차지하고 있다. 미래차 검사·정비 인력도 2024년까지 4만6000여 명을 육성키로 했다.
정부는 빛, 소리 등을 감지해 전기신호로 변환해주는 첨단센서 기술개발 강화에도 나선다. 단기상용화 기술과 차세대 센서소자 등 핵심기술, 센서 기반기술 등 약 2000억원 규모의 K센서 연구개발(R&D) 사업(2022~2028년)을 통해 2030년 5대 센서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방침이다. 나노종합기술원 등 공공인프라를 활용한 센서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고, K센서 글로벌 전담팀을 신설하는 등 해외진출도 적극 지원한다.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분야의 글로벌 선도 바이오기업은 2030년까지 8개를 육성하는 게 목표다. 홍 부총리는 “혁신형 기업의 혁신기술과 오송·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의 우수 인프라가 결합한 공동 R&D를 올해 기획해 추진하고 내년 1000억원 규모 전용정책펀드 조성도 검토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국회에 제출할 예정인 내년도 예산안에 미래차·반도체·바이오 등 소위 빅3 산업 관련 예산을 올해(4조4000억원)보다 43.6% 늘어난 6조3000억원 규모로 반영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를 열고 미래차 검사·정비 인프라 확충 및 전문인력 양성방안 등을 논의했다. 홍 부총리는 전기·수소차 배터리 무상수리 의무기간 연장계획을 밝혔다. 현재 현대자동차는 미래차 배터리 무상수리 기간으로 10년·20만㎞ 안팎, 테슬라는 8년·20만㎞ 안팎을 적용하고 있지만 일부 업체는 2년·4만㎞를 적용하고 있다.
홍 부총리는 또 “정비업 시설기준 완화와 검사장비 보급 등을 통해 2025년까지 전기차 정비소 3300개, 수소차 검사소 26개 이상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지난해 기준 전기차 전문 정비소는 전국 1100여 개로 전체 자동차 정비소의 3%를 차지하고 있다. 미래차 검사·정비 인력도 2024년까지 4만6000여 명을 육성키로 했다.
정부는 빛, 소리 등을 감지해 전기신호로 변환해주는 첨단센서 기술개발 강화에도 나선다. 단기상용화 기술과 차세대 센서소자 등 핵심기술, 센서 기반기술 등 약 2000억원 규모의 K센서 연구개발(R&D) 사업(2022~2028년)을 통해 2030년 5대 센서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방침이다. 나노종합기술원 등 공공인프라를 활용한 센서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고, K센서 글로벌 전담팀을 신설하는 등 해외진출도 적극 지원한다.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분야의 글로벌 선도 바이오기업은 2030년까지 8개를 육성하는 게 목표다. 홍 부총리는 “혁신형 기업의 혁신기술과 오송·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의 우수 인프라가 결합한 공동 R&D를 올해 기획해 추진하고 내년 1000억원 규모 전용정책펀드 조성도 검토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국회에 제출할 예정인 내년도 예산안에 미래차·반도체·바이오 등 소위 빅3 산업 관련 예산을 올해(4조4000억원)보다 43.6% 늘어난 6조3000억원 규모로 반영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