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늦은 장마에 병충해 창궐…속타는 채소·과수농가
추석 대목을 눈앞에 두고 때늦은 장맛비가 쏟아지면서 수확을 앞둔 채소·과수농가가 병충해와 낙과 등 피해로 한숨을 쉬고 있다.

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최근 이틀 동안 100㎜가 넘는 비가 내린 강원지역 농가에는 벌써 온갖 병해충이 속출하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고랭지 배추를 재배하는 태백의 산간 밭에는 채소가 흐물흐물해지면서 썩는 `무름병`과 뿌리가 기형적으로 부푸는 `뿌리혹병` 등이 급속히 퍼졌다. 태백시는 현재까지 고랭지 배추밭 전체 면적의 20%인 91㏊에서 병해충이 발행한 것으로 추정했다.

다 여문 고랭지 무도 갈라지거나 윗부분이 검게 변해 상품성이 크게 떨어졌다.

강릉의 한 농가는 판로가 가로막히자 고심 끝에 무밭을 갈아엎기도 했다.

수확을 앞둔 농가들은 비가 그치는 대로 약제 살포 등 방제작업에 나설 예정이지만, 앞으로도 며칠 간은 비구름이 머물 것으로 보여 피해는 더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때늦은 장마에 병충해 창궐…속타는 채소·과수농가
올해 전북 전주의 대표적 과수작목인 배 생산량도 예년보다 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평년 4천35t에 못 미치는 3천762t에 그칠 것으로 추산된다. 당도도 10∼11브릭스(Brix)로 예년보다 10%가량 낮고, 과실 크기도 전반적으로 작은 상태다.

여기에 일부 과실에는 엷은 흑색의 얼룩무늬가 생기는 흑성병이 번졌다. 습한 날씨에 주로 발생하는 흑성병은 과실 생육을 방해하고 심하면 썩게 한다. 올해는 4∼5월에 많은 비가 내린데다, 장마가 이어져 전국 과수농가에 병이 퍼졌다.

전주시는 온전한 크기와 모양, 상품성을 갖춘 `정형과` 비율도 30%를 밑돌 것으로 내다봤다.

경북 지역 농가들도 병충해 확산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가을철 과일인 사과, 배, 포도 작황에 문제는 없지만, 가을장마가 앞으로도 이어지면 품질과 수확량에 악영향이 예상된다. 일조량이 부족하면 당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날 시간당 70㎜가 넘는 비가 쏟아진 충남 홍성에서는 딸기·고추 시설하우스 4개 동이 물에 잠기는 직접적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침수된 작물은 수확이 거의 어려울 것으로 보여 피해가 예상된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