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유시민 등 여권 인사 '청부고발 의혹' 논란…윤석열 "모르는 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낙연 "尹, 검찰권 사유화"
"尹 측근이 고발장 野에 전달"
인터넷 매체 보도 정치권 강타
尹캠프 "그런 사실 자체가 없다"
홍준표 "몰랐다면 묵시적 지시"
김오수 검찰총장 "진상조사 하라"
"尹 측근이 고발장 野에 전달"
인터넷 매체 보도 정치권 강타
尹캠프 "그런 사실 자체가 없다"
홍준표 "몰랐다면 묵시적 지시"
김오수 검찰총장 "진상조사 하라"

○“손준성이 고발장 국민의힘에 전달”
한 인터넷 언론매체는 지난해 4월 3일과 8일 윤 전 총장 측근인 손준성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현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이 유 이사장과 최강욱·황희석 당시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 언론인 7명 등 11명에 대한 고발장을 야당에 전달했다는 의혹을 보도했다. 당시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송파갑 국회의원 후보이던 김웅 의원이 문건을 당 법률지원단에 넘긴 인사로 지목됐다. 이들이 받은 혐의는 공직선거법 위반과 정보통신망법 위반(명예훼손) 등이다. 선거에 영향을 줄 목적으로 MBC가 소위 ‘검언유착 의혹’ 관련 보도를 하는 과정에 법을 위반했다는 것이다.윤 전 총장 캠프의 김병민 대변인은 보도의 진위에 대해 “그런 사실 자체가 없다. 후보는 전혀 모르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문건 전달자로 지목된 김 의원은 입장문을 내고 “당시 수많은 제보가 있었고, 제보받은 자료는 당연히 당 법률지원단에 전달했다”며 “신원 보호를 위해 전달받은 대화창은 모두 지웠기 때문에 문건을 내가 받았는지, 누구로부터 받았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당시 고발장을 제보로 규명하면서, 제보의 유무와 제보자인 손 정책관의 신원에 대해선 입을 닫은 것이다. 손 정책관은 김 의원의 사법연수원 동기다.
○與 “명백한 검찰 쿠데타”
정치권은 고발장의 피해자에 윤 전 총장과 부인인 김건희 씨가 포함된 것에 주목하고 있다. 윤 전 총장이 본인 관련 사안을 풀기 위해 검찰권을 사유화한 셈이 되기 때문이다.여권은 이번 사건을 ‘윤석열 게이트’라고 규정하고 국정조사 등을 요구했다.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검찰 조직체계상 총장의 지시와 묵인 없이 독단적으로 행동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윤 전 총장의 보복수사와 검찰권 사유화 의혹사건”이라고 비판했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사실이라면 명백한 검찰 쿠데타 시도”라고 했다. 이날 김오수 검찰총장은 대검 감찰부에 진상 조사를 지시했다.
좌동욱/전범진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