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매출액 100대 기업내 한 곳도 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 매출 1000대기업 내 부산기업 29개사, 전년대비 5개사 줄어
2002년 1000대기업 조사 실시 이후 처음으로 30개사 밑으로 떨어져
부산 1위 르노삼성차 전국순위 118위, 전국 매출 100위권 밖으로
29곳 총매출액 27조 9,280억원, 전국 1000대 기업 전체매출의 1.2%에 불과 부산을 대표하는 기업들의 전국적 위상이 갈수록 추락하고 있다. 수도권에 비해 지역 대표기업들의 첨단 신성장산업 비중이 현저히 낮아 지역 산업 전반에 대한 구조조정이 시급하다. 하지만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해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장인화)는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신용평가사 등의 기업정보를 토대로 ‘2020년도 매출액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은 29개사로 2019년 34개사와 비교해서는 새로 진입한 기업은 5개사에 그친 반면 탈락한 기업은 10개사에 이르렀다.
2002년 매출액 1000대기업 조사를 실시한 이후 처음으로 30개 밑으로 떨어졌다.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2008년 55개사와 비교하면 불과 10여년 만에 반토막 수준으로 급감해 지역기업의 위상추락 정도가 매우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고 부산상의는 밝혔다.
지난 10여 년간 지역 내 부동의 매출 1위 기업으로 지난 해(94위) 유일하게 전국매출 100대기업 내에 자리해 온 르노삼성차마저 XM3 수출물량 추가 확보 실패와 임단협 갈등 장기화 등의 악재로 매출이 급감하면서 전국매출 순위 118위로 밀려났다. 이 여파로 전국 매출 순위 100대 기업 명단에 부산은 단 한곳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29곳 기업의 총매출액도 27조 9280억으로 2019년 34곳 기업의 총매출액 31조7845억 대비 무려 12.1%나 감소했다. 전국 대도시중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전국 1000대 기업 전체매출 비중 역시 1.2%에 그쳤다. 서울(1449조 978억)의 1.9%, 인천(56조 1597억)의 50%, 경남(46조 2163억)의 60% 수준으로 대한민국 제2 도시의 위상에 맞지 않는 부산기업의 초라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부산 대표기업들의 외형이 이처럼 눈에 띄게 줄어든 데는 2019년 대비 업체수가 준 영향도 있지만 29곳 기업들이 대체로 지난해 코로나19와 경기침체의 영향을 많이 받은 조선, 자동차, 철강, 신발․고무 등 경기 부진 업종이 많았기 때문이다.
2020년 1000대 기업에서 탈락한 기업을 살펴보면, 부산롯데호텔을 비롯하여 동아지질, 태웅, 화승네트웍스 등 10개 기업이다. 부산롯데호텔은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면세부문의 매출이 급감하면서, 자료 집계 이후 처음으로 1000대 기업에서 탈락했다.
신규 진입 기업은 지난해 친환경 이슈로 매출액이 증가한 파나시아(선박용 탈황장비)와 동성화인텍(선박용 LNG 연료탱크), 태광후지킨(수소탱크용 밸브) 등 제조업 3곳과 분양 실적이 반영된 두동도시개발과 협성르네상스 2곳뿐이다.
부산 매출순위 10위권 내 지역 대표기업 중 2019년과 비교해 전국 매출순위가 상승한 기업은 한진중공업(234위→229위), 하이투자증권(373위→234위), 디지비생명보험(355위→345위), 에스엠상선(441위→372위), 현대글로벌서비스(463→392위) 등 이었고, 하락한 기업은 르노삼성차(94위→118위) 부산은행(155위→161위), 창신아이엔씨(271위→286위), 서원유통(246위→256위), 성우하이텍(310위→331위) 등이다.
전국 매출 1000대 기업의 수도권 편중현상도 여전했다. 2020년 매출 1000대 기업 중 743곳이 서울과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에 있는 가운데 전국 매출순위 100위 내 기업도 서울 78곳 등 91곳이 수도권에 집중됐다. 이는 수도권 일극화의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고 부산상의는 설명했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는 “지역 기업의 매출 규모와 부가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산업구조 개편과 신성장 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실행계획의 추진이 시급하다”며 “지역 산업의 경쟁력을 단기간에 끌어 올려 줄 수 있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유치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2002년 1000대기업 조사 실시 이후 처음으로 30개사 밑으로 떨어져
부산 1위 르노삼성차 전국순위 118위, 전국 매출 100위권 밖으로
29곳 총매출액 27조 9,280억원, 전국 1000대 기업 전체매출의 1.2%에 불과 부산을 대표하는 기업들의 전국적 위상이 갈수록 추락하고 있다. 수도권에 비해 지역 대표기업들의 첨단 신성장산업 비중이 현저히 낮아 지역 산업 전반에 대한 구조조정이 시급하다. 하지만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해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장인화)는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신용평가사 등의 기업정보를 토대로 ‘2020년도 매출액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은 29개사로 2019년 34개사와 비교해서는 새로 진입한 기업은 5개사에 그친 반면 탈락한 기업은 10개사에 이르렀다.
2002년 매출액 1000대기업 조사를 실시한 이후 처음으로 30개 밑으로 떨어졌다.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2008년 55개사와 비교하면 불과 10여년 만에 반토막 수준으로 급감해 지역기업의 위상추락 정도가 매우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고 부산상의는 밝혔다.
지난 10여 년간 지역 내 부동의 매출 1위 기업으로 지난 해(94위) 유일하게 전국매출 100대기업 내에 자리해 온 르노삼성차마저 XM3 수출물량 추가 확보 실패와 임단협 갈등 장기화 등의 악재로 매출이 급감하면서 전국매출 순위 118위로 밀려났다. 이 여파로 전국 매출 순위 100대 기업 명단에 부산은 단 한곳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29곳 기업의 총매출액도 27조 9280억으로 2019년 34곳 기업의 총매출액 31조7845억 대비 무려 12.1%나 감소했다. 전국 대도시중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전국 1000대 기업 전체매출 비중 역시 1.2%에 그쳤다. 서울(1449조 978억)의 1.9%, 인천(56조 1597억)의 50%, 경남(46조 2163억)의 60% 수준으로 대한민국 제2 도시의 위상에 맞지 않는 부산기업의 초라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부산 대표기업들의 외형이 이처럼 눈에 띄게 줄어든 데는 2019년 대비 업체수가 준 영향도 있지만 29곳 기업들이 대체로 지난해 코로나19와 경기침체의 영향을 많이 받은 조선, 자동차, 철강, 신발․고무 등 경기 부진 업종이 많았기 때문이다.
2020년 1000대 기업에서 탈락한 기업을 살펴보면, 부산롯데호텔을 비롯하여 동아지질, 태웅, 화승네트웍스 등 10개 기업이다. 부산롯데호텔은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면세부문의 매출이 급감하면서, 자료 집계 이후 처음으로 1000대 기업에서 탈락했다.
신규 진입 기업은 지난해 친환경 이슈로 매출액이 증가한 파나시아(선박용 탈황장비)와 동성화인텍(선박용 LNG 연료탱크), 태광후지킨(수소탱크용 밸브) 등 제조업 3곳과 분양 실적이 반영된 두동도시개발과 협성르네상스 2곳뿐이다.
부산 매출순위 10위권 내 지역 대표기업 중 2019년과 비교해 전국 매출순위가 상승한 기업은 한진중공업(234위→229위), 하이투자증권(373위→234위), 디지비생명보험(355위→345위), 에스엠상선(441위→372위), 현대글로벌서비스(463→392위) 등 이었고, 하락한 기업은 르노삼성차(94위→118위) 부산은행(155위→161위), 창신아이엔씨(271위→286위), 서원유통(246위→256위), 성우하이텍(310위→331위) 등이다.
전국 매출 1000대 기업의 수도권 편중현상도 여전했다. 2020년 매출 1000대 기업 중 743곳이 서울과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에 있는 가운데 전국 매출순위 100위 내 기업도 서울 78곳 등 91곳이 수도권에 집중됐다. 이는 수도권 일극화의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고 부산상의는 설명했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는 “지역 기업의 매출 규모와 부가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산업구조 개편과 신성장 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실행계획의 추진이 시급하다”며 “지역 산업의 경쟁력을 단기간에 끌어 올려 줄 수 있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유치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