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北 산림생태계 복원하면 대규모 '탄소흡수원' 생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북한의 산림 생태계를 복원해 나간다면 한반도는 대규모의 탄소 흡수원을 확충하게 된다”며 남북한 산림협력 중요성을 강조했다. ‘평화뉴딜’이라는 탄소중립을 위한 남북 협력 사업 구상도 밝혔다.
이 장관은 8일 서울 세종대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반도 탄소중립을 위한 남북 협력방안 심포지움’에 참석해 “실질적 탄소 배출을 줄이고 탄소흡수원을 마련하여 한반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남북이 공동으로 노력해 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북한의 산림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2018년 남북이 산림분과 회담 등에서 합의한 양묘장 현대화와 병해충 방제 등을 꼽았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도 열어뒀다. 이 장관은 “북·미 비핵화 협상의 진척에 따라서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상호 호혜적인 협력 과제들로 다각화 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상황에 따라 남북이 공동으로 ‘한반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배출량과 감축 실적을 통합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방안도 함께 모색해 볼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 재해 가능성을 이유로 들며 대북 인도적 지원 필요성도 역설했다. 이 장관은 “기후 변화로 인한 재해·재난은 주민들의 식량, 보건 분야 등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국제사회 등과 연계한 인도적 협력의 기반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남북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재해재난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시스템의 구축과 기술 교류에서부터 남북 협력이 시작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탄소중립과 평화, 번영을 함께 실현하는 남북의 협력은 국제사회에 매우 모범적인 상생 번영의 모델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며 평화뉴딜 구상도 밝혔다. 이 장관은 “우리 정부의 한국판뉴딜의 한 축인 디지털뉴딜과 함께 그린뉴딜을 또 하나의 축으로 남북 협력사업을 확장해낸다면 탄소중립의 실현을 앞당기고 새로운 일자리 확대 등 경제성장의 동력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며 “이는 북한에게도 경제 발전을 위한 기회의 창이 될 것이고 남북이 함께 번영하는 좋은 소재와 영역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이 장관은 8일 서울 세종대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반도 탄소중립을 위한 남북 협력방안 심포지움’에 참석해 “실질적 탄소 배출을 줄이고 탄소흡수원을 마련하여 한반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남북이 공동으로 노력해 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북한의 산림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2018년 남북이 산림분과 회담 등에서 합의한 양묘장 현대화와 병해충 방제 등을 꼽았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도 열어뒀다. 이 장관은 “북·미 비핵화 협상의 진척에 따라서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상호 호혜적인 협력 과제들로 다각화 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상황에 따라 남북이 공동으로 ‘한반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배출량과 감축 실적을 통합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방안도 함께 모색해 볼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 재해 가능성을 이유로 들며 대북 인도적 지원 필요성도 역설했다. 이 장관은 “기후 변화로 인한 재해·재난은 주민들의 식량, 보건 분야 등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국제사회 등과 연계한 인도적 협력의 기반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남북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재해재난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시스템의 구축과 기술 교류에서부터 남북 협력이 시작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탄소중립과 평화, 번영을 함께 실현하는 남북의 협력은 국제사회에 매우 모범적인 상생 번영의 모델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며 평화뉴딜 구상도 밝혔다. 이 장관은 “우리 정부의 한국판뉴딜의 한 축인 디지털뉴딜과 함께 그린뉴딜을 또 하나의 축으로 남북 협력사업을 확장해낸다면 탄소중립의 실현을 앞당기고 새로운 일자리 확대 등 경제성장의 동력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며 “이는 북한에게도 경제 발전을 위한 기회의 창이 될 것이고 남북이 함께 번영하는 좋은 소재와 영역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