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 공공의료보험이 보장하는 처방약 가격을 낮추기 위한 상세 로드맵을 내놓는다. 제약업계는 로드맵 시행을 반대하고 있어 이번 계획이 관련 기업의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현지시간) 바이든 행정부가 처방약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한 입법 및 로드맵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미국 연방정부는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등을 위한 공공의료보험인 메디케어 관련 약값을 협상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 환자용 약물 시험과 새로운 치료 연구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

사비에르 베케라 미 보건복지부 장관은 "바이든 행정부는 의료 서비스 비용을 줄이겠다고 약속했고 이번 로드맵이 그 핵심 방안을 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의료 사업에서 협상 능력과 혁신을 촉진함으로써 의료 접근권을 강화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메디케어의 협상력을 키우면 약 구매 비용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경쟁 촉진과 가격 투명성과 같은 제안도 포함돼 있다.

다만 이 로드맵에는 납세자들이 부담하는 비용이 포함되지 않았다. 또 국립보건원 내에 의료 혁신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관을 설립하는데 수십억달러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공화당은 메디케어 약값 협상에 반대하고 비용을 낮추기 위해 초당적 접근을 요구했다. 제약업계도 이번 조치를 반대하고 있다.

스티브 우블 PhRMA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로드맵은 오래된 편향적 견해일 뿐 환자들에게 처방약을 제공하기 위해 무엇을 지불해야하는 지를 다룬 진지한 계획은 아니다"고 비판했다.

이번 로드맵 마련은 지난 7월 바이든 대통령이 보건 산업계 관계자들과 만난 뒤 서명한 행정명령의 후속 작업이다. 당시 행정명령에서 45일 안에 보건복지부가 로드맵을 완성하라는 내용이 있었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